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뉴스
"
글
"(으)로 총 1,61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 바이오해커가 온다(김훈기 著,
글
항아리 刊) 생명체의 기본인 유전자 정보와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해 원하는 기능을 가진 생명체를 만들어 내는 이야기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에는 생명공학 전문가가 아니지만 미생물 유전자를 이용해 원하는 생물을 만드는 연구를 하는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피를 갖고 있어요. 피 속에 ‘헤모
글
로빈’이라는 혈색소가 들어 있기 때문이죠. 헤모
글
로빈 안에 있는 철이 피 속에서 산소를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하는데, 철이 산소와 결합하면 빨간 색을 나타내거든요. 한편 파란 피를 갖는 동물들은 모두 혈액 속에 ‘헤모시아닌’이라는 색소를 갖고 ... ...
8월 2일 ‘메르스 종식’ 선언 가능성
동아일보
l
2015.07.13
치료를 받고 있다. 최근 이 환자는 상태가 크게 호전돼 일반 중환자실로 옮겼고 의료진과
글
로 소통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메르스 환자 발생이 중단된 날로부터 28일(메르스 바이러스 최대 잠복기)이 지난 시점을 종식 선언일로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지난 5월 그곳을 탐사한 과학작가 김지현 과학동아 별학교장과 김병수 박사가 사진과
글
을 보내왔다. 서호주의 지형과 하늘을 2회에 걸쳐 시리즈로 소개한다. 김병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데 매진하고 있다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06.29
“제가 식샤 자리에서 메이쟈리그 코치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에요. 박뱅오 같은 궁내 슨슈의 파워가 일본보다 낫고, 정교한 일본 타자들의 뱃컨츄롤은 메이쟈리그보다 뛰어납니다. 갤국 이런 핸상은 돔구장을 지으면 우리 야구가 더 발전할 수 이쓰요.” _돔구장을 사랑하는 모 해설가 지구에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미국 알버트아인슈타인의대 아르투로 카사데발 교수와 리제안느 피로프스키 교수가 쓴
글
로,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지나치게 강조한 의학 패러다임이 오히려 전염병을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Germ theory’를 세균이론으로 부르는 것도 올바른 번역은 아니지만 ... ...
[메르스 업데이트] “홍콩이 메르스 전파 ‘허브’ 될 수도”
2015.06.15
따라 쉽게 국경을 넘어 번질 수 있다며 현재 한국의 메르스 사태 확산을 염려하는 짧은
글
을 국제 의학학술지 ‘랜싯(Lancet)’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2012년 중동에서 발생해 중동의 질환으로만 알았던 메르스가 2015년 한국에서 유행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5월 한국의 첫 번째 확진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알렉스 모이그보이 연구원과 간호사인 앨리스 코보마, 음발루 포니에를 추도하는
글
을 실어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 “비극적인 일입니다. 시에라리온에서 공중보건과 연구 활동에 크게 이바지한 5명의 공저자는 연구 도중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에 감염돼 논문이 출판되기 전에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굿바이 서울, 씨 유 인 샌프란시스코~
2015.06.11
오늘부터 해쉬태그(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특정 단어’ 형식으로 특정 단어에 대한
글
이라는 것을 표현하는 기능)를 만들어 차기 행사에 대한 홍보를 준비할 예정이다. 4일간 진행된 이번 세계과학기자대회에는 과학·의학분야 기자, 전문가 등 1200여 명이 참석했다. 한국을 강타한 메르스도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소장으로 있는 MIT 암연구소의 영입제의를 받아들여 미국으로 돌아갔다. 도네가와는
글
말미에 “자신에게 온 행운이 놀랍다”며 와타나베 교수를 비롯한 여러 사람에게 감사를 표하고 있다. 한동안 면역학 연구를 하던 도네가와는 신경과학으로 관심을 돌렸고 최근 수년 사이 기억의 미스터리를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