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추리
짐작
어림
추측
추론
예보
스페셜
"
예측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백 투 더 문’ 꿈 실현할 우주산업 생태계 활짝 열린다…2019 국제우주대회 폐막
2019.10.26
중심의 뉴스페이스 관심을 보이며 소형 위성 및 인공지능(AI)·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홍수
예측
등에 우주산업을 활용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브라질 우주청, 루마니아 우주청 등 신흥국들은 IAC 전시장에 부스를 꾸리고 세계 각국 우주 관계자들과 교류했다. 향후 우주개발 거버넌스를 고민하고 ... ...
엄재식 원안위원장 "후쿠시마 대응 TF 꾸려 대응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진행한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42시간 내로 한국 전역에 영향이 미친다. 이런
예측
이 있어야 정부가 대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방사능 감시를 위해 한국 근해 19개 지점에 설치된 해수감시기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11회 고장이 났는데 고리원전 인근은 고장 내역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갑작스런 상실을 겪는 이들에게
2019.10.19
비해 오래 트라우마로 남을 확률이 더 높다. 갑작스러운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은
예측
된 상실을 겪은 사람들보다 건강 상의 문제도 더 많이 호소한다. 잠도 잘 이루지 못하는 연구도 있다. 이런 일이 생긴 원인이 무엇인지 내가 뭘 어떻게 했어야 했는지 계속해서 곱씹으면서 충격을 마음 속에서 ... ...
청소년 때 성격 보면 노년기 치매 위험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며 "이를 활용해 수십 년 뒤 치매 발생 위험을
예측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사협회 정신의학회지' 16일자에 실렸다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DNA 서열과 유전체의 후성유전적 암호 패턴만으로 생명체의 미래를 얼마나 정확히
예측
할 수 있을까”를 제안해 최우수 질문에 선정된 민혜성 씨(생명과학과)는 “생각만 하던 질문을 구체화해 내가궁금해했던 것을 알게 된 계기였다”고 말했다. 안호진 씨는 “특정 분야 연구하면 한쪽으로만 ... ...
윤종용 전 부회장 "48년 월급쟁이 생활서 얻은 결론은 호기심이 많은 사람이 뛰어난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기술혁신이지 산업혁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부회장은 "미래는
예측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확실한 건 미래는 오늘날보다 훨씬 폭넓게 변화한다는 점”이며 “그럼 무엇에 의해 변할 것인가. 그것이 과학기술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혁신을 이뤄내는 것은 ... ...
“한국 부실학회 문제 OECD 국가 중 가장 심각. 대처 일회성에 그쳐”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강화해 부실학회 참석에 대한 징계·제재시 관련 규정 및 부실학회를 명확히 해 연구자의
예측
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를 발간한 박소영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각국 정부가 실적 불인정, 평가체계 개선 등의 대응을 통해 부실학회를 이용하는 연구자의 이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올가을 태풍 한반도 미래 기후 맛보기
2019.10.15
높기 때문이다. 한편 지구온난화로 열대성저기압의 발생 건수는 줄어들 거라는
예측
이 많다(이를 지지하지 않는 연구결과도 꽤 돼 IPCC는 보고서에서 확실성은 낮다고 덧붙였지만). 열대 해양의 순환이 약해지면서 대기가 안정화돼 태풍의 씨앗인 요동이 잘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 ...
코오롱 인보사 연구계획 바꿨다가 뒤바뀐 사실 놓쳐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드러났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원래 '세포유전자 치료제로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예측
하도록 유전자 변형 연골세포와 공여자 연골세포 간 특성 분석을 통해 세포를 검증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었다. 하지만 개발 도중 2액에 대한 추가적인 특성 분석을 필요없다고 판단해 임의로 제외했다. 결국 1액만 ... ...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이용해 배터리의 음극을 만들었다. 그러면 배터리가 더 큰 에너지를 가질 것이라고
예측
했다. 1980년 그는 리튬 이온을 넣은 코발트 산화물이 최대 4V까지 생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것은 배터리 연구계에서 중요한 혁신으로 훨씬 강력한 배터리를 만들기 위한 시작이었다. 구디너프 교수가 만든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