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참조)을 보면 로봇들이 별 뜻 없이 왔다갔다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어느 순간 정말로 글자를 만들어낸다. 놀라운 점은, 모 든 로봇들이 같은 명령을 받았는데도 각각 다른 최종 위치에 간다는 것이다.“모든 로봇은 하나의 조이스틱에 연결돼 정확히 같 은 명령을 받습니다. 하지만 바퀴의 오차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과 가장 ‘썸’을 많이 탄 과학자는 아인슈타인일 거 같네요. 그는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어요. 1896년 스위스 연방 공대에 입학해 헤르만 민코프스키 등 당 대 저명한 수학자들에게 배울 기회가 있었지만, 강의에도 잘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민코프스키조차 “아인슈타인은 내 수학 시간에 ...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이 없었다면 오늘날 병원에서 많이 쓰는 X선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도 없었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프랑스 수학자 장 바티스트 조제프 푸리에가 만든 ‘푸리에 변 환’이라는 수학공식이 들어가 있습니다.DNA 배열처럼 가시광선 파장보다 짧고 미세한 구조는 눈은 물론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 사진 속 표본은 모두 자연사박물관에서 제공함.All specimens included in images are derived from Natural History Facilities2011년, 뉴욕 사진전에 무명의 남성이 기묘한 작품을 들고 나타났다.‘생명과학’이라는 큰 주제뿐, 제목은 모두 ‘무제’다. 사진 속에는 핏빛 심장, 뇌, 수술 도구 등이 1 ...
- 꿀꺽~ ‘나노주스’로 내시경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내시경을 하기 위해 목으로 긴 호스를 넣을 때의 고통은 겪어본 사람만이 안다. 이런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 화제다. 미국 뉴욕주립대 조나단 러벨 박사팀은 한 모금 마시기만 하면 내시경을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나노주스’ 기술을 개발해 ‘네 ... ...
- 침팬지도 똑똑한 건, 엄마 아빠 덕?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머리가 좋고 똑똑한 사람을 보면 “누굴 닮아 이렇게 똑똑하니?”라고 묻는다. 하지만 정작 사람의 지능에서 유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 정도로, 나머지는 대부분 환경의 영향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국립영장류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침팬지는 유전의 역할이 약 절반으로 사람보다 높다. 혹시, ... ...
- 큰빗이끼벌레, 너 정말 억울하니?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환경단체가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긴다.”큰빗이끼벌레 논란이 심해진 직후, 일각에서 이렇게 주장하기 시작했다. 언론과 환경단체가 4대강 수질문제를 꼬집기 위해 징그럽게 생긴 큰빗이끼벌레를 ‘이용’했다는 것이다. 어느 정도 일리 있는 지적이다. 큰빗이끼벌레가 예쁘게 생겼어도 그렇게 ... ...
- 무질서 속에 질서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결정성을 지니지 못하는 ‘비결정성 물질’에 새로운 규칙성을 부여할 이론이 제안됐다.미국 펜실베니아대 물리학과 안드레아 리우 교수는 결정학을 통해서 구조를 알지 못하는 ‘무질서한’ 물질의 구조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을 연구해 그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7월 7일자에 발표했다. 리 ... ...
- 비행기가 비행기를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화산이 폭발한 지역에 사람이 고립됐다는 소식을 듣고 인근에 있던 항공기가 급하게 출동했다. 서두르느라 구조용 무인비행기를 미처 싣지 못하고 나왔다. 그래도 문제없다. 현장에서 바로 3D프린터를 이용해 ‘맞춤형 항공기’를 인쇄하면 되니까.최근 유럽 최대 방위산업체 ‘BAE시스템스’가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올해 4월 학술지 ‘사이언스’에 거꾸로 걷는 초파리에 관한 논문이 실렸다. 연구진은 열유전학 기법을 사용해 초파리의 행동을 연구하다가, 우연히 거꾸로 걷는 초파리를 발견했다. 이 초파리에는 ‘문워커(마이클 잭슨의 뒤로 걷는 춤)’라는 이름이 붙었다. 연구진은 이런 행동을 하게 하는 ‘문 ... ...
이전135213531354135513561357135813591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