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d라이브러리
"
둘임
"(으)로 총 2,5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04
하루 종일 따뜻한 봄 햇살로 대지를 어루만지던 태양이 서산 아래로 지고 나면, 멀리 동쪽 하늘부터 까만 밤하늘을 배경으로 촛불 켜지듯 별들이 하나둘 나타나기 시작한다.운이 좋으면 초롱초롱 제 자리를 지키며 밤하늘을 밝히는 별들 사이로 휙 하고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는 별똥별을 볼 수도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지난 2월 대학원을 다니는 A씨는 황당한 일을 겪었다. 방안에 고이 놓아둔 노트북이 갑자기 ‘치직’ 소리와 함께 순식간에 눌러 붙은 것이다. 연기가 나기 시작하고 채 5분도 안돼 A씨의 멋진 노트북은 흉하게 일그러졌다.그보다 앞선 지난 1월 취재 중이던 한 기자의 노트북 가방에서도 연기가 피어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04
메디컬 평점 ★★★★★ 프랑스판 호접지몽(胡蝶之夢)영화 줄거리세계적인 프랑스 패션 잡지‘엘르’의 편집장인 쟝 도미니크 보비. 그는 동거녀 이네스와의 사이에 아들 하나와 딸 둘을 둔 가장이다. 바람둥이였던 아버지의 피를 그대로 물려받은 듯 화려한 여성 편력을 자랑하며 살던 그는 어느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03
호랑이는 죽으면 가죽을 남기지만 쓰레기는 태우면 재를 남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쓰레기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5년에는 매일 평균 4만 8398톤의 쓰레기가 쏟아져 나왔다. 하루 동안 국민 1인당 0.99kg의 쓰레기를 배출한 셈이다. 생활쓰레기의 절반 정도는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소각되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03
‘어? 잘못 봤나….’문이 열려있는 신인철 교수 연구실에 들어서다 눈앞 광경에 기자는 주춤했다. 암이 생기는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과학자 방에 어항이 잔뜩 들어차있을 거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문패를 다시 보니 분명히 ‘502호 부교수 신인철’이라고 써있다.“아! 오셨네요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03
미국 해군은 고장난 첩보위성이 대기권에 진입하기 직전 미사일로 이를 격추했다. 해군이 사용한 마시일은 북태평양에 위치한 순양함에서 발사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0.6m급 광시야 망원경을 이용해 격추 전 첩보위성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푸린 및 피리미딘염기(鹽基)와 당의 환원기가 결합한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03
The apparent antiquity of the methanogenic phenotype plus the fact that it seems well suited to the type of environment presumed to exist on earth 3~4 billion years ago lead us tentative to name this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설날엔 왜 떡국을 먹을까? 떡은 언제부터 먹었지? 떡은 어떻게 만들까? 떡에 대해 궁금한 것이 정말 많아요. 설을 맞아 떡에 대한 궁금증 해결은 물론 떡 만드는 방법까지, 모든 것을 해결하기 위해‘어린이과학동아’명예기자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음식연구원의 진소연 박사님을 만났답니다. 먼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내 차 물어 내라구욧! 흐어어어엉~!”한겨울의 정적을 깨고 비명에 가까운 울음소리가 들려왔다.“타탁~! 화르르르륵!”어라? 이건 또 무슨 소리? 게다가 무슨 매캐~한 냄새도 나는 것 같은데? 배고픈 제트에게 기름을 넣어 주려고 주유소에 들렀던 닥터고글.주유만 끝나면 제트를 타고 냥냥이와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02
18년째 ‘행복’을 연구하고 있는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소냐 류보머스키 교수는 행복을 ‘추구’하는 대상이 아니라 ‘창조’하거나 ‘만들어가야’하는 그 무엇이라고 주장한다. 삶을 살 만한 가치가 있게 만들어주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인 ‘긍정심리학’은 의지만 확고하면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