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길
길거리
거리
도로
나비
너비
폭
d라이브러리
"
가로
"(으)로 총 1,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런데 이번에 김교수팀이 개발한 새로운 기억소자는 여기에 트랜지스터 한개를 추
가로
연결시켜 놓은 것이다. 바로 이 추가된 트랜지스터가 증폭기 역할을 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 축전지의 크기를 줄이면서 집적용량은 증대시켜야 했던 기존의 기억소자와는 달리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유형무형의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박영자교수는 여성과학자의 진출을
가로
막는 걸림돌들을 이렇게 제시했다."여학생들의 자부심 결여가 우선 문제예요 학과성적이 남학생보다 앞서는 여학생도 스스로 자립심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다른 사람에 의한 자기비판을 잘 받아들이지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노란색, M형은 3천도에 붉은색을 띠게 된다. 태양은 분광형이 G인 주계열성이다.H-R도의
가로
축은 원래 분광형이 자리잡는 곳이었기 때문에 온도축의 방향이 그렇게 된 것이다. (그림2)에서 알 수 있듯이 거성들은 분광형이 K형 아니면 M형이어서 붉게 보인다. 따라서 거성들은 흔히 적색거성이라고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뿌옇게 나와 지방의회에서 결의를 했다고 합니다.
가로
등에 덮개를 씌워 하늘쪽으로
가로
등 빛이 가지 못하게해 거리는 밝고 밤하늘은 어둡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 거리에서는 천체사진을 찍어도 항상 원래의 밤하늘 모습이 나온다고 합니다.조상 한집에 한등 끄기만 해도 에너지도 절약되고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집합으로 본다. 그리고 이 점 하나를 제어하는데 1바이트의 정보를 요구한다. 따라서
가로
7백20개 세로 3백4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흑백모니터의 한 화면을 그래픽 모드로 구성할 경우 25만9천5백60바이트의 정보량이 필요하다.따라서 똑같은 컴퓨터도 어떤 모드로 운영하느냐에 따라 느리기도 하고 ... ...
2. 국산 DTP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paste) 기능이 있으며, 조합형 한글 삽입시 완성형으로 자동변환되는 기능이 있다. 특히
가로
쓰기 문자를 세로쓰기로 바꿀 수 있다.휴먼컴퓨터는 최근 한글 윈도우용 폰트 매니저인 '글꼴지기'를 개발해 문방사우와 더욱 다양한 서체를 제공한다. 글꼴지기란 한글 윈도우 3.0 이상에서 화면과 프린터에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양의 인공조명이 꺼지기 때문이다.광공해 차단 필터광공해를 일으키는 대다수의 불빛은
가로
등이나 기타 공공시설물에 흔히 쓰이는 수은등과 나트륨등이다. 이 램프들은 다행히도(?) 태양광이나 백열전구와 같이 가시광선 영역 전체 대역의 빛을 내지 못한다. 쉽게 말하자면 태양광이나 백열전구는 ... ...
은하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산과 바다가 그리워지고 밤이 무척 기다려지는 시기이다. 밤하늘엔 하얀 은하수가 길게
가로
놓이고, 사람들은 별밤의 아름다움에 잠시나마 한낮의 무더위를 잊게 된다. 특히 도시에서 벗어난 해변가나 계곡 속에서 바라보는 밤하늘은 마치 은가루를 뿌려놓은 듯한 멋진 장관을 연출한다. 이 여름 ... ...
일곱난쟁이의 우유나누기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컵에는 원래 얼마만큼씩의 우유가 있었을까? 제일 많은 컵에 얼마의 우유가 있었는
가로
답해 보시오.① $\frac{2}{3}$ ② $\frac{6}{7}$ ③ 1$\frac{1}{2}$ ④ 1$\frac{3}{4}$ 맞춰보고(1) ②두번째 식을 맞는 식으로 고치면 다음과 같다.123-4-5-6-7+8-9=100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식들이 가능하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큰 성운 중의 하나로 날씨가 좋은 날이면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성운의 중심을
가로
지르는 어두운 가스와 먼지의 만(灣)에서 석호 성운이라는 이름을 따 왔다. 이 어두운 모래톱은 별들이 형성되는 모습일 것이다. 이 성운은 지구에서 수천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그 지름은 수십 광년 정도이다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