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사회적 이끌림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또
거리
가 가까울수록 영향을 많이 받게 되죠. 보행자 흐름을 시뮬레이션할 때 적용하는 수학모델에는 사회 장과의 관계를 반드시 정의합니다. 권 선임연구원은 “보행자의 움직임과 사회 장의 관계가 지수함수를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자나 회로 연결은 63.1%로 줄일 수 있다(더 읽을
거리
참조).3진법 소자를 지지해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국내에서도 3진법에 맞는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 연구자가 있다. 강석형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최근 더욱 효율적인 3진법 덧셈기와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응축된 진공에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서로 밀쳐내는 성질과 비국소성(
거리
가 얼마나 떨어져 있든 즉각 그 상태를 변화시키는 성질. 양자역학의 얽힘 현상을 떠올리면 된다)이 생긴다. 결과적으로 공간의 안정성이 보장되고 시공간의 특이점이 배제된다.이는 비가환 위상공간에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권운은 다른 구름(10km 미만)보다 훨씬 높은 상공(10~13km)에서 생긴다. 대형 여객기가 장
거리
를 비행하는 높이기도 하다.미국항공우주국(NASA) 랭글리연구센터의 패트릭 민니스 박사는 1971년부터 1995년까지 25년 동안 인공위성으로 찍은 데이터를 토대로 권운이 얼마나 많아졌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이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드론이나 전기비행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쯤 되면 조금 더 발칙한 상상을 해봅시다. 길
거리
에 깔린 무수히 많은 전선과 거대한 철탑인 송전탑도 사라질 수 있을까요?초고전압 송전탑에서 전송하는 수만 W가 넘는 전력을 무선으로 보내는 건 지금으로서는 어렵습니다. 현재 가장 멀리 전력을 ... ...
[QUIZ KING & KAIST] 겨울방학 수학 교류전 개최!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지금보다 낮으면 산책로 길이가 짧을 거라고 생각했다. 어은동산의 높이와 상호의 산책
거리
는 어떤 관계가 있고, 과연 상호의 생각이 맞을까? (원뿔의 빗변 길이는 일정하다고 하고, 높이 변화를 관찰해 보자!)수리 논술 답안을 논리적으로 서술해 보세요. 잘 풀어준 학생을 매달 1명씩 선정해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
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지B’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됐다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연구 그룹마다 다르다”고 말했다.문제는 생각보다 복잡해진다. 지금까지 먼 은하의
거리
를 측정하는 데 모두 이 방법을 썼기 때문이다. 우주가 가속팽창하는 것을 밝히는 데에도 초신성 데이터가 이용됐는데, 만약 오차가 생각보다 훨씬 크다면 가속팽창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마저 제기된다(물론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만약 특정 기간 동안 어떤 이유에선지 허블 반지름이 감소한다고 해보자. 물질의 이동
거리
는 제한된다. 반면 우주는 계속 팽창하므로 정보 교환이 가능한 범위(지평선)는 자꾸 넓어진다. 이 경우 지평선 밖에 존재하던 두 입자가 지평선 안쪽으로 들어오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된다. 우주 진화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4일엔 유방암 주의 걷기대회 등 크고 작은 행사들이 계획돼 있다. 연구 외에도 많은 추억
거리
가 쌓일 것 같다.탐사의 막바지다. 주변에 열정을 불태우던 동료들도 이제는 좀 빨리 끝났으면 할 정도로 지쳐있다. 시추를 조기에 종료하기 위해서는 퇴적층의 하부에 있는 기저암이 코어에 나와야 한다.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