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는 여러 디자인이 결국 실현되는 것처럼, 이 공모전은 미래 건축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각형 보드 위에서 하는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콰트레인먼트는 1984년 미국의 소프트웨어공학자 숀 퍼켓이 ‘계산!’이라는 잡지에 처음 소개하면서 유명해졌고, 1988년에 미국 데이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톰 간트너가 수학적으로 분석해 해법을 찾아냈어요. 콰트레인먼트를 즐기려면 우선 16칸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좋아하니까 자주 하게 되고, 게임을 직접 개발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특히 컴퓨터공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하루에 3시간씩 자면서 게임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만큼 매달렸다. 게임 개발자가 되려면 어떤 소양이 필요한가우선 게임을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전공이 다양하다.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컴퓨터공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IT 관련 기업에서 일을 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게임 회사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매료돼 결국 게임 개발자가 됐다. 이런 분위기에서 창의적이고 환상적인 게임이 탄생할 수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던 두 연구원의 동공이 미세하게 떨렸다. 이초희 KIST 인턴연구원, 오제훈 서울대 재료공학과 연구원(석.박사통합과정)과 ‘과학동아-KIST 4D 프린팅 프로젝트’가 시작되던 순간이다. 아디다스도 4D 프린팅으로 운동화를 만들었는데, 우리도 한번 해보자. 문제는 7월호 마감까지 3주라는 빠듯한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추구하고 있어 외국인 교수가 많고,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도 많은 편이다.서 씨는 “특히 공학계열은 외국 연구자들과의 연구 교류가 중요한 만큼 국제형 수업이 큰 장점”이라며 “하지만 평소에 영어를 소홀히 하면 수업에 적응하기 힘들 수 있어 영어 기본기를 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느낀 것들을 통해 진로를 정할 수 있었다. 그는 “비록 실패했던 것이라도 조선해양공학으로 진로를 정하는 과정에서 했던 다양한 활동을 자기소개서에 적었다”고 말했다. 가령 이 씨는 친구들과 에어컨 바람을 분산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고등학생 수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놀랍게도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택, 학교, 아파트, 초고층건물 같은 모든 건물은 고유한 주기로 계속 흔들리고 있다. 흔들리는 범위가 아주 크지 않게 만들었기 때문에 느끼지 못할 뿐이다. 이렇게 건물이 흔들리는 건 평소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지진이 일어나면 얘기가 달라진다.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서울대 박사(인공지능), 김홍표 아주대 교수(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정재승 KAIST 교수(뇌공학),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우주 날씨)이 서밋을 이끌어갈 주인공들이다.뇌와 양자, 유전자와 AI, 우주 속에서 보이지 않던 새 길이 나타날 수 있다. 7월 21일, 독자 여러분을 그 서밋에 초대한다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