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사한 ‘생체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 소자’를 개발했다. 외부 음성처리장치 대신 서로 길이와 두께가 다른 유연한 압전소자 여러 개의 물리적 변화를 이용했다. 현재 쥐 실험만 진행 중이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은 미정이다. 인공 기관지다른 사람의 기증이 필요 없는 인공생체 이식의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하지만 중력파가 지구를 지나가면 한쪽 터널의 길이는 길어지고 다른 한쪽 터널의 길이는 짧아져서 빛이 되돌아온 시간에 차이가 생기지요. 이때 두 빛이 간섭을 일으켜 빛 검출기가 신호를 감지한답니다.라이고는 수소 원자핵의 1만분의 1 크기 변화까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정확도가 뛰어나요. 그 ... ...
- [수학동아클리닉] 단위로 알아보는 겉넓이와 부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전개도를 활용해 2개의 밑면과 옆면의 넓이의 합을 더하면 됩니다.길이를 잴 때 단위길이를 이용하고 넓이를 구할 때 단위넓이를 이용하는 것처럼, 부피를 구할 때에도 단위부피를 이용합니다. 가로와 세로가 각각 2배씩 늘어나면 부피는 4(=2×2)배 늘어납니다. 가로, 세로와 높이가 각각 2배로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효율은 96% 정도. 이보다 높은 효율이 지속적으로 나와야만 실제 응용이 가능하다.“갈 길이 멀지만, 언젠가 배터리를 대체할지도 모릅니다. 좀 더 가볍고, 버려지는 물질로 작동하면서 폐수까지 정화하는 신개념 배터리죠. 배터리 용량이 늘 문제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가정용 전기기구에 응용할 수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로 위에 길이가 약 1cm인 땅콩 한 알이 떨어져 있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나노 과학이 길이가 나노미터 단위인 분자의 세계를 다룬다면, 펨토 과학은 원자의 중심부에 있는 펨토미터 단위의 원자핵과 그것을 구성하는 양성자, 중성자의 세계를 탐구한다. 다양한 원자핵을 만든 뒤 환경에 따라 이들이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뒤틀려서 2차원 평면에 있지 못하고 3차원으로 확장이 되더라고요. 그런데 사각형의 길이를 그냥 아무 숫자로 하면 재미가 없잖아요. 등차수열,★ 피보나치 수열 등 다양한 수열을 이용해서 나타냈죠. 그랬더니 피보나치 수열로 했을 때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 완성됐어요.”그런데 잠깐, 애초에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논문 한편을 쓰기 위해서는 종류 별로 적게는 수십 가닥 이상, 많게는 수백 가닥을 골라 길이를 재야한다. 능숙한 연구자라고 해도 지루하고 쉽지 않은 일이다. 눈을 마사지하고 있는 기자에게 오 교수가 “왜 알바를 쓰는지 아시겠죠?”라고 웃으며 물었다. 대답 없이 격렬하게 고개만 끄덕였다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부탁해~.메기 : 저는 메기 중에서도 ‘픽터스 캣피시’라고 불리는 종이에요. 평균 몸길이가 11cm 정도로, 메기 중에선 작은 편에 속한답니다. 다른 메기들과 마찬가지로 긴 수염을 자랑하지요. 이 수염은 마치 곤충의 더듬이처럼 주변의 먹이나 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해요.또한 저는 주로 늦은 밤에 ...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기록은 60진법으로 기록했다. 점토판에 기록된 속도와 시간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네 변의 길이가 모두 다른 사다리꼴 두 개가 나온다. 두 사다리꼴 넓이의 합이 120일 동안 목성이 움직인 거리다.바빌로니아 점토판에 나열된 수를 구분할 때는 ‘,’로 나타내는데, 자연수와 소수점 사이의 자리를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_다시 보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원 위에 있는 한 점까지의 거리를 원의 반지름이라고 합니다. 한 원에서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같기 때문에 원 모양이 둥근 것이고, 바퀴나 굴렁쇠, 훌라후프가 잘 굴러가는 이유는 원의 중심에서 땅에 이르는 거리(반지름)가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의 크기와 관계없이 지름에 대한 원주의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