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대다수는 밀어내는 압력으로 똥을 짜낸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똥은 압출되는 대신 미끄러진다”고 말했습니다. 모든 포유류가 배변 때 밀어내는 압력이 비슷하기 때문에, 그 정도 힘만으로 코끼리가 거대한 똥을 밀어 내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본 겁니다.연구팀이 이런 엉뚱한 연구를 한 건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하지만 지금은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밥 대신 빵을 먹는다. 인류는 언제부터 빵을 먹기 시작했을까. 빵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탄생했을까. 어디로부터 어디로 전해져 지금처럼 수없이 다양한 빵이 탄생했을까.빵의 역사에 대해 찾아보면 기원전 600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잭은 침몰했던 블랙 펄을 인양하기 위해 데비존스와 계약을 하기도 했다. 배를 건져주는 대신 13년 동안 블랙 펄의 선장을 하고 100년 동안 데비 존스의 배인 플라잉 더치맨에 복무하겠다는 내용이다. 물론 잭은 데비 존스의 뒤통수를 치고 도망갈 생각이었지만…. 그래서 2편에서는 가히 엄청난 ...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인간형 지능을 가진 휴머노이드 로봇도 개발 중인데 사람을 대신해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 로봇으로 개발될 가능성도 있다. 최근 러시아 정부는 휴머노이드 로봇 ‘표도르’의 상세 이미지를 공개했는데, 양손에 권총을 들고있는 모습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프로젝트는 살아 있는 잠자리를 조종하는 것이 목적이에요.연구팀은 무거운 배터리 대신 가벼운 태양전지로 전기를 공급할 계획이에요. 또한 잠자리가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소형 내비게이션을 장착할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레야? 로봇이야?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것은 아주 드물고, 비슷한 크기의 불순물 이온들(철, 티타늄, 망간 등)이 부분적으로 규소 대신 산소와 결합해 다양한 색상의 변종들이 생겨난다. 보라색 자수정과 노란색 황수정, 분홍색 장미수정 등이다.또 석영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결정화되는데, 내포된 물질과 결정을 이루는 속도나 온도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등 지구와 한반도 역사의 비밀을 간직한 곳을 탐험해 왔다.참가자들은 폼나는 해외여행 대신 차를 타고 수백 km를 오가는 고생을 사서 해야 하지만 열기가 대단하다. 2차원의 종이 위에 나열된 정보를 3차원의 생생한 지식으로 머리와 마음에 새기며 세상을 보는 통찰력이 깊어지기 때문이다. 출발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때 발효 속도가 훨씬 빠르다. 발효종을 넣은 반죽은 발효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하다. 그 대신 발효 미생물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맛과 향기가 더욱 다양해진다. 특히 유산균이 젖산을 만들기 때문에 생이스트를 넣은 반죽보다 시큼한 맛이 난다.한편 베이킹파우더와 베이킹소다 같은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그래서 국내 한 기업에서는 ‘광학 릴레이렌즈’라는 새로운 장비를 개발했어요. 광섬유 대신 알루미늄과 아크릴 파이프를 사용해 빛을 통과시키고, 중간중간 볼록렌즈로 흩어지는 빛을 다시 모아 지하 150m까지 빛을 보내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 장비를 쓰면 동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자외선과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이런 암호는 음악에서 쓰는 암호와 공통점이 많습니다. 다만 음악에서는 부호나 기호 대신에 음이름을 이용했습니다. 태연이 사용한 방법은 과거 프랑스 음악가들이 즐겨 사용하던 악보 암호입니다.1909년 프랑스 음악 저널리스트 쥘 에코쉐빌은 알파벳의 모든 글자를 7개 음계에 대응시키는 이른바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