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B, C, D, E, F라는 사용자가 있을 때 A와 B, A와 C, A와 D, A와 E, A와 F는 파티 활동을 하지만 B~F 사이에는 서로 교류가 없는 경우죠. 반면 충성도 높은 사용자들의 네트워크는 복잡하게 얽혀서 집단 내에서 자주 상대를 바꿔가며 파티 활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기계학습으로 이탈할 사용자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크기가 다른 두 개의 원을 그려 넣었는데, 사진 속 천체가 둥글고 지름이 작은 원과 큰 원 사이에 있으면 원시행성계 원반일 가능성이 큽니다.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크면 원시행성계 원반이 아닌 별이거나 은하를 비롯한 다른 천체일 수 있습니다. 시민천문학자들이 일차적으로 원시행성계 원반 후보 ... ...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2부 "수학자의 수학자" 대중들에겐 수학을 쉽고 재밌게 설명한 콘웨이는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존경받는 수학자로 꼽힙니다. 수학의 대중화에 힘쓴 것만큼 수학 연구에도 대단한 성과를 냈기 때문이었습니다. 콘웨이가 수학계에 이름을 처음 알린 건 일명 ‘웨어링 문제’라고 불리는 정수론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해빙 면적의 감소는 북극의 기온을 끌어올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북극과 중위도 상공 사이를 지나가는 제트기류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제트기류의 변화는 북반구의 여름철 폭염이나 겨울철 한파 등 이상기온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역사상 최대 규모의 북극 관측 프로젝트인 ‘모자이크(MOSAiC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통찰력을 얻는 첫걸음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가장 큰 재단 중 하나인 미국 사이먼스 재단이 이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이들이 AI와 함께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 기대해보자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스트레스 수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b2891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적으로 불릴 만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평소에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면 면역 시스템을 저하하고 각종 질환을 ... ...
- [1회] 수학미식회, 데이터 맛집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분석했습니다. 학생들에게 친하게 지내는 친구를 묻는 설문조사를 한 뒤 학생들 사이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그려서 분석한 겁니다. 그 결과 한 반에서 약 10%의 학생은 친구들과의 관계가 단절된 ‘외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른 친구를 선택하지도, 친구에게 선택받지도 않은 경우죠.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부르는 작은 정사각형의 조합으로 인식해요. 각 픽셀은 밝기에 따라 0부터 255 사이의 값으로 표현되죠. 앞서 돋보기라 표현한 것 역시 ‘필터’라 불리는 정사각형 모양의 픽셀 모음이에요. 필터는 이미지 위를 움직이며 칸에 맞게 포갠 뒤, 필터와 사진의 픽셀에 적힌 수끼리 ‘합성곱 연산’을 ...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캐릭터의 선호도에 비례해 증가하는 요소를 알아봤습니다. 회귀분석은 둘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는 통계 분석법이에요.그 결과 캐릭터의 선호도와 관련 있는 요소는 익숙함과 부드러움, 전통적, 이 세 가지였습니다. 이 요소들은 인물과 동물 등을 실제와 비슷하게 그리는 사실적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영상레이더(SAR·합성개구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영상레이더는 파장이 1mm에서 1m 사이인 마이크로파를 지표에 보낸 뒤 되돌아오는 정보를 이용하는데, 구름 입자의 크기보다 파장이 길어 구름을 뚫고 지상을 관측할 수 있다. 극지연구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관측지의 위성 영상을 거의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