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다. 이 곡은 핑크퐁의 ‘상어가족’이 아닌가. 자작곡이라고 소개하고 유명한 곡들을 대놓고 따라 하며 표절이 아닌 척 부르는 콘셉트의 개그다. 이 영상은 1월 13일 기준 조회수 500만을 넘길 만큼 화제가 됐다. ‘표절제로’ 시리즈의 인기에 힘입어 카피추는 본인의 유튜브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물리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자신들을 ‘실험 천문학자(experimental astrophysicist)’라고 소개했다. 천문학의 영역을 이론, 관측, 실험으로 무 자르듯 분명하게 나눌 수는 없지만, 관측 기기를 손수 설계하고 직접 설치해 자료를 얻고 해석하는 사람들을 실험 천문학자라 부른다고 했다. 하는 일만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눈길을 사로잡았다. 사막개미(Cataglyphis)가 먹이를 찾은 후 집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소개한 기사였다. 간단한 신경계를 가진 사막개미가 뜨거운 사막에서 태양빛이 대기에 부딪혀 발생하는 편광을 활용해 방향과 위치를 찾는다는 내용은 호기심을 마구 불러일으켰다. 마침 자율연구주제를 찾고 있던 ... ...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 역시 기록으로 남아 있진 않습니다. 콜라츠 추측이 글로 정확하게 사람들에게 소개된 것은 1971년 영국의 기하학자 해럴드 콕서터의 강의자료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전까지 콜라츠 추측은 수학자들의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진 거죠. 당시만 해도 수학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나 봅니다. 그러다 197 ...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주어집니다.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 참가자가 누릴 수 있는 특별한 혜택을 소개합니다! ①과학자의 논문에 등장! 시민과학자들이 분류한 왜소은하는 천문학자들이 연구할 예정이에요. 연구할 대상을 찾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거죠. 따라서 연구 결과가 논문으로 나오면 과학자들이 ... ...
- [수학체험실]수학과 예술의 만남!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한 가지 배열을 갖는준정테셀레이션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필자소개서미나 선생님은 토의와 탐구를 통해 학생들이 수학적 원리를 찾고 발견할 수 있도록 수업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이를 실천하는 수학교사입니다. 모둠원끼리 협업을 하며 논리성과 창의성을 키우고, ‘배움-앎 ... ...
- 퍼즐마스터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짠! 우리는 당신을 퍼즐마스터로 만들기 위해 머릿속에서 튀어나온 퍼즐 세포들! 퍼즐을 잘 풀려면 논리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관찰력을 길러야 하는데, 지금 뇌 ... 퍼즐 세포의 대표인 나 ‘논리지마’를 비롯해 4명의 퍼즐 세포들이 준비한 퍼즐을 소개할게! (퍼즐 한국창의퍼즐협회 ... ...
- [오일러 프로젝트] 반드시 탈출한다 ! 엑시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구하는 문제입니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가장 먼저 떠오른 건 지난 1월호에 소개한 1번 문제를 해결한 방법입니다. 1부터 수를 높여가면서 1~20 사이의 자연수로 나눈 나머지가 모두 0인 수를 찾는 거죠. 매우 무식한 방법이지만, 이렇게 모든 경우를 따지는 ‘브루트 포스 알고리듬’은 ... ...
- [지구사랑탐사대] 윈터 윙즈, 겨울엔 어떤 새를 만날 수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참여하기 위해서였지요. 내리는 눈을 녹일 만큼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던 탐사현장을 소개해요! 두툼한 부리면 딱딱한 열매도 문제 없어! “겨울엔 어떤 새가 살까요?”아침고요수목원에 모인 30여 명의 지사탐 대원들에게 한국야생조류협회 심유진 연구원이 질문을 던졌어요. 대원들은 ‘박새’, ... ...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간지럼을 타고, 깔깔 웃으며 놀 줄 안다고! 귀여움도 겸비한 매력 부자 친구들을 소개할게! 간지럼 타는 쥐? 좋아서 깔깔대기도 해!쥐도 간지럼을 탄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2016년,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마이클 브레히트 교수와 이시야마 신페이 박사팀은 간지럼에 대한 쥐의 뇌 반응을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