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있던 씨앗이 바람을 타고 흩어지는데, 멀리서 보면 꼭 행글라이더처럼 보입니다. 씨앗 양옆으로 종이처럼 얇은 조직이 붙어 있는데 ‘날개폭’이 15cm나 됩니다. 그런데 무게는 고작 0.3g에 불과하지요. 사실 날개의 두께는 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도 채 안 되기 때문에 종이보다 훨씬 얇지요. 땅에 ...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모습을 갖췄지만 일제강점기 시절인 1927년, 조선총독부 건물을 경복궁 내부에 지으며 옆 자리로 옮겨졌다. 6.25전쟁 중에 상부의 목조건물이 또 한번 소실된다. 1968년에 하부를 그대로 남겨두고 상단 건물만 어설프게 재현해 진정한 ‘문화재’라 부르기 어려웠다.위치는 원래 서 있던 자리에서 ...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9호
- 5~15개 나고 사방으로 가지를 여러 개 치면서 자란다. 하늘을 향해 곧게 자라는 대신 옆으로 넓게 퍼져 성장이 빠르고 수확량이 많다. 일반 카사바는 덩이뿌리가 10~15개 맺히고, ISC카사바는 덩이뿌리가25개까지 생긴다. 또 일반 카사바의 뿌리는 약 50cm, 약 3.4kg인 데 비해 ISC카사바의 뿌리는 약 4.5m, 약 4 ...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감성을 자극하는, 일명 스마트조명이 대세가 될 겁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머리 옆에 대면 심박이나 체온을 재거나 뇌파를 읽은 뒤, 조명에 정보를 보내는 거죠. 결국 조명은 사람의 기분에 따라 빛의 색깔과 조도를 바꿀 겁니다. 우울할 땐 밝고 따뜻한 색을, 화가 났을 때는 차분한 빛을 내겠죠. ... ...
- 드라큘라성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08호
- 한 커다란 그림이 있다. 도형은 가슴이 쿵쾅거렸지만 침착하려고 애쓴다. 그때 회전문 옆에서 또 다른 퍼즐을 발견한다. “이 퍼즐만 풀면 이 방에서 나갈 수 있을 거야. 자, 집중해서 퍼즐을 보자. 1부터 9까지 숫자 중 연산을 만족하는 수를 넣으면…. 같은 색깔에는 같은 숫자가 들어가겠지? ... ...
- 우리에게 빛은 생명일까, 공해일까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느껴질 것이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심각하다. 밤새 밝게 비추는 가로등 옆에 놓인가로수는 계절을 혼동해 단풍이 늦어지곤 한다. 너무 환한 밤과 낮을 구분하지 못해 생체리듬이 깨진 새들이 떼죽음을 당하거나 해양생물이 집단으로 폐사한다. 농작물의 수확량이 크게 줄어들기도 한다. ...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몸에서 “이제 그만 먹어!”라고 하는 신호분자, 즉 호르몬이 분비돼 혈관을 순환해 결국 옆에 있는 쥐까지 식욕이 떨어지기 때문이다.또 ob 쥐와 정상 쥐를 병체결합하면 ob 쥐의 식탐이 줄고 체중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정상 쥐의 식욕억제 호르몬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ob 쥐는 ... ...
- 번호로 찾는 지도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선수들이 1번부터 9번까지 그리고 투수까지 나란히 표시돼 있다. 그런데 선수 이름 옆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번호가 하나씩 더 써 있다. 순서도 없는 것이 심지어 D, P라는 알파벳도 섞여 있다.평소에 눈여겨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쳤을 이 번호는 선수의 수비 위치를 나타낸다. 2번은 포수, 3번은 1루수 ...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일구기 때문에 물을 너무 많이 써서 사막이 만들어지기도 해요. 중앙아시아의카자흐스탄 옆에 있는 아랄해가 그 예지요. 약 40년전까지만 해도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수였는데, 강줄기를 바꾸고 목화밭을 많이 일구는 바람에 지금은 물의 양이 10분의 1로 줄어들었답니다.종이를 되살리자! ...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속에서 답을 찾기로 해.1173년 8월 이탈리아 피사시는 전쟁 승리를 기념해 피사대성당 옆에 종탑을 세우기로 했어. 높이 56m, 지름 15m의 커다란 탑을 계획했지. 문제는 기초 공사를 위해 땅을 파다가 지하수를 발견한 데서 시작해. 해결책은 찾지 않고 계속 탑을 쌓다가 3층을 올리는데 탑이 남동쪽으로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