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불과 한 달 만에 코로나19 관련 논문이 50개 넘게 쏟아져 나왔다. 이후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증가하면서 과학자들은 연구에 더욱 속도를 냈다. 전 세계의 우수 학술논문 인용지수 스코퍼스(Scopus)에 등록된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관련 논문은 2만 1542개다. 논문을 가장 많이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ITER에 파견돼 실험을 수행하며 핵융합 연소장치의 다양한 운전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확보된 ITER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동력 변환 장치가 포함된 한국형 핵융합실증로(K-DEMO)를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은 비록 핵융합 에너지 연구에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KSTAR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딱 일 년만, 글을 쓰며 살아 보자고 생각했다. 실험하듯 내린 결정이었다. 작가가 된 이후의 삶2018년에는 프리랜서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길게 잡지 않고 일 년만 작가로서 살아남기를 시도해 보고 실패하면 다른 일을 하러 가자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한 달 용돈으로 쓸 만큼도 수입이 없어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블랙홀’이라고 불려요.1915년 아인슈타인이 블랙홀의 존재를 처음 이론적으로 증명한 이후 1960년대까지 물리학자들은 블랙홀을 두고 ‘완전히 붕괴된 중력 물체’ 등 어려운 말로 불렀어요. 그러다 미국 이론물리학자 존 휠러가 1967년 열린 학회에서 우연히 ‘블랙홀’이라는 단어를 듣고는 여러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먼저 아라온호에 승선해 있던 의사 한상호 선생님이 원양어선원들의 건강을 살폈어요. 이후 선원들을 아라온호의 2층에 따로 머물게 한 채 한국으로 가는 바닷길에 올랐지요. 이때 배 2층 전체를 완전히 격리하고, 공기 흐름 밸브를 조절해 2층의 공기가 다른 층으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했어요.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난해 200명이 모인 발표회에서 준비했던 동영상을 컴퓨터 오류로 틀지 못했다”며, “이후 중요한 영상은 GIF로 준비한다”고 말했어요. 동영상은 용량을 많이 줄이는 만큼 압축을 위한 계산이 복잡한 반면, GIF는 압축 방식이 단순해 오류가 적답니다. 세균에 ‘움짤’을 저장한 과학자가 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 현상은 1838년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페히너에 의해 최초로 발견됐어요. 이후 영국의 과학자 벤함이 팽이를 이용해 설명했지요. 이 때문에 ‘페히너의 주관색’ 또는 ‘벤함의 팽이’라고 불리게 되었답니다. 팽이의 색과 도형을 다르게 바꾸면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지, 다양하게 체험해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 기둥 모양의 가스와 먼지가 뭉쳐지며 별이 탄생하는 장면을 볼 수 있었지요. 이후 천문학자들은 같은 곳을 갓 태어난 별을 둘러싼 먼지와 가스를 투과할 수 있는 적외선 파장으로도 관측했어요. 최근 우주 다른 곳에서는 행성이 만들어지는 모습도 발견되었어요. 지난 5월 20일, 파리천문대의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지수로 보는 블랙핑크의 상승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눈썹 휘날리며 그 속을 들여다보자. 블랙핑크는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던 ‘2NE1’ 이후 YG엔터테인먼트에서 7년 만에 새로 선보인 걸그룹으로, 그야말로 엄청난 기대와 부담을 짊어지고 데뷔했다. 데뷔 팀과 데뷔 시기가 엎어졌다가 뒤집히기를 반복하면서 ‘과연 얼마나 대단한지 보자’는 듯한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보드와 함께 개발 보드의 저가화와 대중화를 이끈 주역입니다. 종훈 님은 MOM으로 선정된 이후 이 작품을 해체했다고 합니다. 단점들을 계속 보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연말시상식을 위해 재조립해 갖고 나온 것이 3세대 작품이라고 합니다. 뒷면엔 ‘MADE IN KOREA’라는 글자까지 새로 새겼습니다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