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이다. 모세르 부부는 2005년 하나의 내비피질 신경세포가 전기신호를 만드는 지점들이
일정
한 간격과 각도를 두고 떨어져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 지점들을 이어보니 각 선이 60˚를 유지하며 6개의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매우 정교한 정육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었다. 장소세포에서는 볼 수 없던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무역도 문제였다. 1993년 선포된 우루과이라운드 이후 우리 정부는 외국쌀을 의무적으로
일정
량 수입했다. 작년 한 해만 쌀을 50만t 이상 수입했다. 국내 쌀 생산량의 10%에 해당한다. 최근 정부는 쌀 시장 완전개방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과연 고율의 관세로 언제까지 우리 쌀을 지켜낼 수 있을지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증거일지도 모르겠지만 말이야.”사람은 왜 늙는가?속도의 차이는 있지만 인간은 누구나
일정
나이가 넘으면 늙기 시작한단다. 무엇이 사람을 이렇게 쪼글쪼글, 힘없는 노인으로 만드는 걸까? 과학자들은 크게 세 가지 이유를 꼽는단다.하나. 염색체가 짧아지면 세포의 삶도 끝사람의 외모나 두뇌는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달의 크기가 실제로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일까? 사실 달의 크기는 지름 3476km로
일정
하며, 이는 지구의 약 4분의 1(지구 지름은 약 1만 2800km)에 해당한다. 지구가 농구공이라면 달은 야구공이나 테니스공 정도로 비교할 수 있다.그럼 왜 달의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 달라 보이는 걸까? 이는 달이 ... ...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많은 전자파를 방출하는 기기는 복사기였다. 거의 하루 종일 바라보는 모니터에서도
일정
량의 전자파가 꾸준히 나왔다.전자파의 크기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콘센트의 접지 여부다. FTLAB의 고재준 대표는 "일상 생활에서는 무심코 넘어가기 쉽지만, 전자파 노출을 줄이려면 접지가 되는 전자제품과 ... ...
[체험] 잘록한 허리를 가진 일엽쌍곡면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세 평면에 관해 대칭이다.일엽쌍곡면을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은 두 개의 원판 사이에
일정
한 간격으로 선을 늘어뜨리는 것이다. 우선 선을 직선 형태로 늘어놓는데, 그러면 선들은 원기둥 모양을 이룬다. 이제 두 원판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천천히 돌리면서 선의 모양을 관찰하면 된다. 그러면 그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독자기자들! 개막식이 열린 지난 13일, 독자기자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촘촘한
일정
속에 열심히 취재에 임했다. 12시간 동안 세계수학자대회장을 종횡무진 누빈 독자기자들의 취재기를 소개한다.09 : 00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세계에서 내로라하는 수학자들과 같은 장소에 있다는 것이 ... ...
[화보] 도시가 잠든 사이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무척 긴 시간이다.따라서 장노출 기법으로 찍은 사진에는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인 물체의 자취가 고스란히 기록된다. 이를 위해 작가는 촬영 전 머리 속으로 구상한 그림을 재빠르게 허공에 그려 표현해야 한다. 중간에 자칫 머뭇거리다가는 처음부터 다시 그려야 하기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1. 100km 우주고도여행총 3박 4일. 건강검진 및 무중력체험 등의 기본 훈련 뒤 비행하는
일정
. 우주관광이 처음인 초보자를 위한 코스. 100km 상공에 올라 약 5분 간 자유낙하하면서 무중력을 경험하고 내려온다. 그게 정말 우주관광이냐고? 걱정 붙들어 매시라. 지상 100km는 국제항공연맹(FAI)이 우주와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초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해리엇은 독일의 유명한 수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와 함께
일정
한 공간에 대포알을 가장 많이 쌓을 수 있는 방법을 의논했다. 두 사람은 구 모양의 물체는 쌓을 때 생기는 빈 공간을 가장 적게 만드는 방법을 생각했다. 1611년, 케플러는 ‘상자 안에 구 모양의 물체를 가장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