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말"(으)로 총 4,07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2036년. 지구를 떠나 화성에 첫 발을 내딛는 데 성공한지도 어느덧 5년의 세월이 흘렀다. 지금 우리 베이스캠프에서는 떠들썩한 파티가 한창이다. 막 폐막한 제1회 화성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념하는 파티다. 오늘 파티에 참석하는 조건은 딱 하나였다. 경기 때 입었던 선외활동용 우주복을 입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 당사국총회의 각종 부대행사는 9월 29일부터 열린다. 10월 6일 강원 평창에서 열리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의 가장 큰 이슈는 한 주 뒤인 10월 12일부터 발효되는 나고야 의정서다.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자원을 가진 나라와 그 자원을 이용해 돈을 번 나라가 이익을 나누는 제도다. 이전까지는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2005년 11월 9일, 중앙일보에 실린 한 문장이 온 국민의 가슴을 울렸다. 띄어쓰기도 없는 이 문장은, 루게릭병에 맞서 싸우고 있는 전 농구 선수 겸 코치인 박승일 씨가 당시 안구마우스를 이용해 쓴 메일이었다. 2002년, 그토록 바라던 농구단 코치로 발탁되자마자 루게릭병 진단을 받은 박 씨의 안타까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늦여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뉴턴의 사과나무’ 옆에 노란 컨테이너 9개가 나타났다. 한 컨테이너 안에 들어서자 소수점 9자리까지 표시된 디지털시계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왔다. 사진작가는 지금껏 살아오면서 0.01초까지만 인식했던 자신과 달리 그보다 1000만배 더 정밀한 1억 분의 1초까지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한글’“이제 한국어와 한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볼까요? 여기 계신 분들은 모두 한국말을 정말 잘 하시는데, 혹시 본인이 속한 나라에서도 한국어와 한글에 대해 알고 있었나요? 한국어와 한글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이야기해 주세요.”외국인들은 ‘한국어’와 ‘한글’에 대해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학퍼즐의 대가 마틴 가드너가 창간 5주년을 기념해 퍼즐캠프를 열었다. 더군다나 오는 10월 21일은 마틴 가드너가 탄생한지 정확히 100년이 되는 날이다. 전세계의 내로라하는 퍼즐가들이 함께 하는 이 캠프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초대장 속 사과를 꺼내와야 한다. 주최자 마틴 가드너가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저 모래 언덕 너머에 무엇이 있을까?”왕자웨이 감독의 걸작 영화 ‘동사서독’에서, 사막의 여관을 운영하는 주인공 검객 구양봉(장국영 분)은 멀리 지평선에 걸친 모래언덕 너머의 세계를 늘 궁금해한다. 그곳에도 과연 사막이 이어지고 있을까. 혹시 세계가 끝나지는 않을까. 가보지 않은 채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5700년 전 신석기 한반도 최초의 재배 벼, 가와지 볍씨한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쌀은 충청북도 청원에서 발견된 ‘소로리 볍씨’다. 약 1만5000년 전의 볍씨로 중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볍씨보다도 나이가 많다. 그러나 소로리 볍씨는 야생종과 재배종의 중간 형태인 순화종으로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 식물공장에서 만든 에볼라 치료제이번 에볼라 사태는 바이오 분야에서 ‘식물공장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소재의 작은 바이오 제약사가 만든 에볼라 치료제, 지맵(ZMapp) 때문이다. 지맵은 에볼라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단일클론항체(특정 항원에만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난 8월 11일부터 17일까지 몽골 남동부 고비사막에서 이뤄진 공룡 발굴 현장에 동행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과 일본 홋카이도대, 몽골학술원 등이 주축이 된 한일몽골 국제공룡탐사 프로젝트의 일부였다. 공룡뼈라고는 평생 얇은 뼛조각 한 번 발견해본 적 없었지만, 연구자들과 함께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