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간호사 교육 수료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기기와 자궁근종 사이에 장이 있거나 자궁근종이 골반 깊이 위치한 경우 사용이 힘들다.
김
교수팀은 복부 대신 질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산부인과 생식의학회지’에 발표됐다 ... ...
전세계 어선 4척 중 1척에 '노예선원' 탄다…중국 오징어선박, 한국 참치잡이배도 '의심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능력은 전 세계 인권단체와 집행기관의 잠재적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컨설턴트는 "한국 정부가 갖고 있는 원양어선 데이터에 이를 적용해 감시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걸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매년 원양어선 선원 노동과 인권문제가 발생하는 한국에 이같은 ... ...
'과학 한국' 이들이 있어 지금이 있다…한국을 빛낸 ‘1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8
과학운동…‘과학데이’도 제정 고(故)
김
용관 과학지식보급회 전무이사.
김
용관 선생은 일제강점기 ‘과학조선 건설’을 민족의 새로운 비전과 활로로 제시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과학운동을 펼친 과학기술 활동가다. 1918년 경성공업전문학교 1회 졸업생인 그는 1919년 3·1운동이 전국적으로 ... ...
"AI 인재 키워달라"
김
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 KAIST에 500억원 쾌척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규모인 교수진을 40명 규모로 확대하고 AI 융복합 인재 양성과 연구에 주력하기로 했다.
김
명예회장의 이번 기부는 KAIST 개인 기부로는 역대 네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이수영 광원산업 회장이 올해 676억 원 규모 부동산을 기부하는 등 총 766억 원을 기부해 가장 많이 기부했고 국내 1호 한의학 ... ...
공학한림원 "5년내 산업구조 안바꾸면 장기침체 빠진다"
2020.12.16
분야에서는 환경과 에너지 대전환 시대를 맞아 구조 전환과 신성장 엔진으로 자리매
김
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전통 산업인 섬유의 경우 고기능 친환경 스마트 섬유로 신성장 산업으로 바꿔나가고 화장품은 수요 맞춤형 시장으로 선제적으로 구조를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 ...
[의학게시판]
김
재휘
김
안과병원 전문의, 망막학회 학술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020년 한국외안부학회 필름 페스티벌’에서 ‘아이핏 학술상’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김
교수는 ‘FUT1 유전자 결손이 스트레스 환경에서 면역 불균형과 각막 혼탁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지난 4월 국제학술지 셀 데스&디지즈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안구건조증의 발생에 있어서 FUT1 ... ...
코로나 확진자 1천명 넘어 어디까지…전국에 공포감 엄습
연합뉴스
l
2020.12.13
444개 중 199개를 사용해 가동률이 44.8%까지 높아졌다. 인하대 3학년에 재학 중인
김
모(21) 씨는 "수도권에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되면서 지난주부터 도서관을 비롯한 캠퍼스 내 모든 집단이용시설이 폐쇄됐고 기말고사도 온라인으로 치르고 있는데 인천지역 확진자가 계속 늘어 몹시 불안하다"고 ... ...
크리스마스 트리는 알고보면 '한국산'··· 멸종위기의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12.12
새싹을 활용하면 씨앗을 발아시키는 과정 없이도 어린 구상나무를 많이 얻을 수 있다.
김
전임연구원은 “구상나무의 배아줄기세포는 야생식물종자 영구저장시설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시드볼트에 보관할 예정”이라며 “이를 이용해 구상나무가 쇠퇴한 원인을 밝히고 구상나무를 보전하는 ... ...
2024년 달에 갈 NASA우주인 후보에 한국계 미국인 조니
김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한인 출신 첫 우주비행사인 조니
김
도 후보에 올랐다. 미국 LA에서 태어난 조니
김
은 미국 샌디에이고대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해군 장교를 거쳐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레지던트로 일하던 중 NASA의 우주비행사 선발 프로그램에 지원했다. ... ...
해조류 먹어 치우는 게를 풀자 산호가 살아났다
2020.12.11
유입되면서 이를 영양으로 사용하는 해조류가 급격히 성장하는 것도 치명적이다.
김
과 미역을 포함한 해조류는 광합성을 하기 위해 햇빛을 두고 산호와 경쟁하는데다 이산화탄소를 내뿜어 바다의 산성도를 낮춰 산호가 자라는 것을 방해한다. 연구팀은 이중 산호초를 잠식하는 해조류를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