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약
뉴스
"
약물치료
"(으)로 총 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조일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뇌 신호를 읽고 신경세포에 자극을 동시에 주는 초소형 브레인칩을 개발했다. 조일주 책임연구원 제공 사람의 생각을 읽고 뇌 질환을 치료하는 다목적 뇌 임플란트 칩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기술을 좀더 끌어올리면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도 ... ...
[이정아의 미래병원] '게임병'을 다스리는 세 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정신질환으로 인해 게임에 집착하는 증상이 훨씬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럴 경우
약물치료
를 받으면 우울증 등의 병적 증세가 사라짐과 함께 게임중독 증상도 호전된다고 한다. 전문의들은 게임중독을 호소하는 환자가 병원에 오면 가장 먼저 우울증 등 다른 정신질환을 겪고 있는지 ... ...
사망률 30% 패혈증 치료제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몸속에 침입한 세균을 백혈구가 공격하는 모습을 그린 상상도. 최근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백혈구 중 하나인 호중구가 면역물질을 과다 분비 하는 것을 막을 핵심 효소를 최초로 밝혀내 새로운 패혈증 치료제를 개발할 실마리를 찾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균에 감염되면 백혈구 중 호중구가 ... ...
심장마비 '골든타임' 늘려주는 새 치료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미국 버지니아공대 프랄린의생명공학연구소 연구팀이 심장마비된 직후 심장조직이 일정 시간 살아있도록 유지하거나 당뇨병성 발궤양 등으로 괴사한 조직을 살릴 수 있는 화합물을 발견했다. 병원에 이송할 때까지 심장마비 환자를 보호해 생존율을 높일 신약이 탄생할 전망이다. 게티이미지뱅 ... ...
[이정아의 미래병원]'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달라질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이달 11일 보건복지부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른바 '존엄사법'이 도입된 뒤 존엄사를 선택한 환자가 6만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지난해 2월 법이 도입된지 1년 반 만이다. 나중에 회복하기 어려운 중환자가 됐을 때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고 미리 결정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 ...
내성 결핵균 잡을 새 치료법 FD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기존 치료제가 듣지 않아 결핵균(사진) 중에서도 특히 치명적인 다제내성 결핵균을 치료할 새로운 방법이 14일 FDA 승인을 받았다. 기존 다제내성 결핵균 치료제보다 생존율이 2.5배나 높은 89%나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소아청소년 환자에게도 부작용이 거의 없이 효과적으로 쓰일 전망이다. 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2007년 방영된 ‘고맙습니다’는 미혼모와 HIV 보균자인 딸이 역경을 헤쳐가는 모습을 감동적으로 그려 ‘따뜻한’ 드라마라는 호평을 받았다. 그럼에도 HIV 보균자에 대한 우리사회의 냉대는 여전하다. mbc 제공 지난 2007년 방영된 드라마 ‘고맙습니다’는 특이한 소재를 다뤄 당시 화제가 됐다. 미 ... ...
난치성 뇌전증 진단 정확도 30%에서 100%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질환으로 부분 발작과 전신 발작을 겪는다. 전체 뇌전증 중 30~40%는 난치성 뇌전증으로
약물치료
로 조절되지 않아 치료를 위해 수술이 필요하다. 이런 난치성 뇌전증은 신체적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단이 어렵다. 뇌 국소 부위에서 발생한 소량의 돌연변이를 찾는 기존 ... ...
[의학게시판]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뇌종양 공개상담과 강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에서는 수술적 치료(소아신경외과 김승기 교수)와 항암
약물치료
(소아청소년과 최정윤 교수), 방사선 치료(방사선종양학과 이주호 교수)로 진행한다. 강좌는 사전등록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석 가능하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 뇌신경센터 외래(02-2072-3444)로 문의하면 ... ...
지방 축적 원인 단백질 규명…비만·당뇨 등 치료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권혁무 UNIST 교수(앞줄 가운데)와 연구진.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우리 몸속에서 지방 축적을 빠르게 하는 단백질의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 체내에 지방이 쌓여 생기는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치료에 새로운 길을 제시할 전망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혁무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