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투명 초음파 내시경', 암 조기진단 도움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내시경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2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됐다. 내시경 초음파는 소화기내과에서 암 진단에 널리 활용되는 기술이다. 부드러운 연조직의 대조도가 낮고 조직의 구조적 정보만 제공해 민감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 ...
이산화탄소, 이차전지 핵심인 '고품질 탄소' 소재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연구결과는 10월 국제
학술
지 'ACS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 인터페이시스'와 11월 국제
학술
지 '에너지 & 퓨얼스'에 공개됐다.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산화탄소를 산업용 소재로 변환하는 과정에는 많은 에너지와 수소가 필요하다. 공정 비용은 비싼데 이산화탄소 전환으로 생산할 수 있는 ... ...
겨울철 벼락에 취약한 풍력 발전기 피해 막으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소비자 전기료 절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리절트 인 엔지니어링’에 게재됐고 ‘국제대전력망협의회(CIGRE)’ 공식 저널에 기고됐다 ... ...
서울대, 손바닥 저장 전략 구현한 로봇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정렬할 수 있는 혁신적인 '다물체 파지 그리퍼(MOGrip)'를 개발하고 1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그리퍼는 물건을 움켜쥘 수 있는 로봇손을 가리킨다. 논문 1저자는 엄재민 서울대 박사과정생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대다수의 그리퍼는 물체를 하나씩 잡아 옮기는 ... ...
'햇빛 기피' 안 돼…빛 못 보면 당뇨 위험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지질 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빛을 완벽히 차단한 환경에서 생활하면 교감 신경계가 둔화되고 혈당과 지질의 항상성이 깨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혈당과 지질이 적절한 농도를 ... ...
전이금속 없이 실리콘 화합물 '유기실란'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2.15
화학 산업으로의 전환을 앞당길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앙게반테 케미 인터내셔널 에디션’에 게재됐다. doi.org/10.1002/anie.20241375 ... ...
독성 없이 '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5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ACS 서스테이너블 케미스트리 & 엔지니어링’ 10월호 표지논문과 ‘케미칼 엔지니어링 저널’ 7월호에 게재됐다. doi.org/10.1021/acssuschemeng.4c05075 doi.org/10.1016/j.cej.2024.153288 (왼쪽부터)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뽑은 올해 최고의 성과는 에이즈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2.15
제공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을 예방하는 백신 주사제 '레나카파비르'가 올해의 혁신(Breakthrough)으로 선정됐다는 내용이 담겼다. 사이언스는 올해 최고의 과학 성과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을 일으키는 HIV 예방 백신을 선정했다고 13일(현지시간) ... ...
[사이언스영상] 척수 손상 환자 두 명이 다시 걸었다
SEIZE
l
2024.12.14
척수 손상을 입은 환자 2명의 뇌 깊은 곳을 자극해 다시 걷도록 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
학술
지 '네이처 메디슨'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어떤 뇌 신경세포가 척수 신경 회복에 관여하는지 기초 연구부터 했다. 척수 손상을 입은 쥐가 회복하는 동안 뇌를 3D 이미징 기법으로 관찰해 바깥쪽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토물·배설물 화석, 공룡이 포식자된 이유 설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14
니에즈비에츠키 스웨덴 웁살라대 교수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그간 연구에 따르면 공룡은 2억4700~2억3700만 년 전인 트라이아스 중기에 등장했다. 하지만 공룡이 지상 생태계에서 먹이사슬의 지배자가 된 것은 이보다 약 3000만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