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민수
사람수
인원수
머릿수
전국인구
전국
스페셜
"
인구
"(으)로 총 1,470건 검색되었습니다.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쉽게 말해 우주의 시작이 기하학적으로 구의 표면과 같다는 것이다. ‘2500년 지구의
인구
가 얼마나 될까’ 하는 대중적인 내용도 있었다. 그는 지구가 사람으로 꽉 차서 육지 1m2 당 사람 한 명이 서 있는 그림을 보여줬다. 산술적인 계산을 한 것이었지만 재치 넘치는 그림이었다. 그는 이후 서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은 간에서 먼저 아세트알데히드로 바뀐 뒤 최종적으로 아세트산이 돼 해독된다. 지구촌
인구
70억 명 가운데 Aldh2 유전자변이형을 지닌 사람은 5억 4000여만 명으로 10%가 채 안 되는데 특이하게도 동아시아에 몰려있다. 한중일 사람의 36%가 알데히드탈수소효소2(Aldh2)의 변이형을 갖고 있어서 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년이나 짧다. 한편 1990년 초미세먼지로 조기사망한 사람은 350만 명이었다. 지구촌의 평균
인구
가중 초미세먼지 농도는 1990년 39.7㎍/㎥에서 2015년 44.2로 11.2% 높아졌다. 게다가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이런 식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계속 높아진다면 25년이 지난 2040년 조기사망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것이다. 실제 연구자들은 1997년에서 2003년 사이 대만의 전통의학 처방을 조사한 결과
인구
의 3분의 1이 AA가 포함된 약초를 복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말미에서 저자들은 또 다른 충격적인 사실을 얘기하고 있는데 AA가 쥐방울덩굴속 약초에만 들어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즉 분류학적으로 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중년층 헌혈을 장려해야 한다지만 수혈 수요가 높은 노인
인구
는 한동안 계속 늘 것이기 때문에(65세 이상이 2015년 654만 명에서 2050년 1881만 명으로 거의 세 배가 된다) 이렇게 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닌 것 같다. 그렇다고 외국에서 피를 들여오자니 비용도 만만치 않고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족의 장내 미생 중에선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
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또 도시인들의 미생물 속엔 항생제 내성을 가진 미생물 무리가 하드자 족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만~1만5000년 전 농업이 발전하며 인류의 식습관이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혼밥
인구
가 늘었다던가 혼자 뭔가를 하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해서 무턱대고 비사회적이라는 등의 이상한 시선을 보내는 경우들이 있다. 그런데 혼자는 정말 이상한 걸까? GIB 제공 헨리 데이빗 소로우(Henry David Thoreau)는 미국 메사츠세츠주 월든 호수 근처에 집을 지어 몇 년 간 홀로 숲 속 생활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쩔쩔매는 물부족 국가이므로 수력은 말할 것도 없고 풍력 역시 바람이 많은 곳이 적고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발전기를 세울 곳이 마땅치 않다. 필자는 십수 년 전 대관령에 놀러 갔다가 풍력발전기를 처음 보고 두 번 놀랐는데 생각보다 너무 컸고 너무 시끄러웠기 때문이다. 남은 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알레르기와 마찬가지로 환자가 점점 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400만 명으로 추정돼 전체
인구
의 7%에 이른다. 이런 추세는 범세계적이서 홍콩의 경우 염증성장질환(자가면역질환인 크론병이 포함돼 있다) 환자수가 수십 년 사이 30배가 됐다. 우리나라 통계는 찾지 못했지만 이런 추세의 예외는 아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줄이는데 극적인 효과가 없더라도 사람들의 건강에는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친다.
인구
과밀과 소음 등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인 도심에서 나무의 존재는 정신건강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도심의 나무가 각종 질환의 위험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