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에 만난 아마추어천문가 신혜성 발견 꿈꾸는 조상호씨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입의 거의 100%를 모두 '밑빠진 독'에 쏟아붓고 있다. 현재 장비구입과 제작에 4백만원
정도
를 뿌렸다. 그 결과 6인치 반사망원경과 4인치 굴절망원경을 보유하고 있고 앞으로 두달쯤 후에는 13인치 자작망원경을 완성할 예정."아마추어천문가중에는 저처럼 데이터를 중시하는 학구파도 있지만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등을 구입하는 것만으로도 최소한 1백만원은 있어야 한다. 셈틀소리 회원들 중에도 30%
정도
만이 장비를 갖추고 있다. 실험음악으로 시작한 전자음악을 대중화하려고 애쓰는 전문가집단이 전롱회라면 셈틀소리는 비록 아마추어들이지만 전문가 못지않은 실력을 갖추고 있다. 셈틀소리의 고문인 ... ...
주변기기 활용법-마우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용중 케이블이 서로 꼬이거나 무리하게 잡아당겨 끊어질 수도 있다. 약간 느슨한
정도
의 길이만을 늘어뜨려 놓고 나머지는 가지런히 묶어 컴퓨터 뒤쪽으로 정리해 두면 이러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학 선생님은 그의 수학실력을 인정했다. 실제로 그의 수학실력은 대학생 수준을 넘는
정도
였다.그러던중 1894년 아인슈타인 가족은 모두 이탈리아로 이사를 갔다. 아인슈타인은 김나지움 기숙사에 혼자남게 됐고, 점점 말이 없는 아이로 변했다. 수업시간에 질문을 하면 선생은 가르쳐주기는 커녕, ... ...
대입문제, 출제경향과 대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익혀두어야 한다.삼각함수 복소수(자연) : 삼각함수 부분은 미분 적분의 계산을 할
정도
로만 익혀두면 좋다. 그러나 복소수는 드 므와브르의 정리, 극형식표시 및 도형에의 응용부분 등을 능숙하게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극한 미분법 적분법(인문 자연) : 배점이 30% 이상인 부분이다. 이들 단원은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정말 관심을 끄는 분야만 더욱 깊이있게 공부하기로 했다.윌슨교수 밑에서 1년 반
정도
를 연구한 후에도 현재 예일대학의 박사과정에 이르기까지 나는 2개의 분자생물학 실험실을 더 거치며 다양한 연구경험을 쌓아왔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과목만 택하고 있을때 남보다 더 많은 과목을 택하며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정도
' 나 '차가운
정도
'를 눈대중으로 알아내는 경우가 많았다. 강이나 호수의 물이 얼
정도
로 춥다든지 날씨가 따뜻해지면 강물도 풀린다든지 하는 것을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청동을 녹여 주물로 만드는 기술이 전해져 물이 끓을 때 보다 청동이 끓을 때가 더 뜨겁다는 것도 알았다. 그런 아주 ... ...
PARTⅣ 국내연구현황 테라와트급 고출력레이저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테라와트급이 실현되면 반도체가공에 응용되고 기초적인 핵융합실험을 할 수 있을
정도
라는 것. 과학기술원에는 김병윤(물리학과·광섬유) 남창희(물리학과·레이저플라즈마) 신상영(전자과·광전자)교수 등도 레이저분야를 연구하고 있다.표준연구소에는 레이저연구실을 비롯해 분광색채연구실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좋을 것이다.유난히도 별이 많은 밤에는 그동안 알고 있었던 별자리 조차도 찾기 힘들
정도
로 혼란스러울 때도 있다. 그렇지만 큰곰자리의 북두칠성이 제법 높이 올라와 있고 겨울의 왕자 오리온이 그 위용을 자랑하므로 이 두별자리를 먼저 찾아 감각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겨울철의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진지하게 관측을 하는 사람을 아마추어 천문가라고 제한해 정의한다면, '별자리를 10개
정도
알아 볼 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엄언히 개인적인 견해에 불과하다. 하지만 별자리를 찾아 보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어서 초보자에게는 자상하고 친절한 안내가 절실하다.KAAA가 ... ...
이전
1357
1358
1359
1360
1361
1362
1363
1364
1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