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나고 심지어 장마철에는 하수가 역류하는 불상사도 일어난다.최근 이런 문제를 해결할 신개념 빗물받이 뚜껑이 개발됐다. 최원철 설송 대표는 “쓰레기는 막고 물만 흘려 보낼 방법을 고심하다가 물의 비중이 크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빗물 양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탄성 있는 차단판을 ...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각하거나, 첨단 로봇기술을 규제하려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나가지 못하는 지역’을 정했다. 태양권의 경계인 태양권계면 역시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개념이고 측정은 이뤄진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나 덕분에 처음으로 그 존재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내가 여기까지 오는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태양권계면은 한 번에 그냥 통과할 수 없다. 그보다 30~40AU ...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각한 것이다. 이게 바로 도시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수직도시’라는 개념이다(물론 수직도시라는 말은 정식 용어가 아닌 비유적 표현이며, 르코르뷔지에도 그런 말을 쓰지는 않았다). 초고층건물은 부담이다현대 초고층건물은 르코르뷔지에의 이상과는 완전히 딴판이다. 주변에 ...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기계가 있다면 공부하기가 얼마나 편할 것인가. 이는 사물인터넷(IoT)보다 훨씬 진보된 개념이다. 일종의 ‘뉴로IT(Neuro-IT)’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외부기기와 뇌가 직접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면, 사람의 생각만으로도 모든 걸 통제할수 있다.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특정 ... ...
-
- [뉴스 포커스] 세계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한국에 모인 이유는?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교수와 그의 아내 타냐 샤르티에는 우스꽝스러운 표정과 동작으로 수학 개념을 표현한 ‘수학 마임’ 공연을 펼쳐 어린이 관람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이번 브릿지스 서울 2014는 수학 교사들과 학생들이 수학의 무궁무진한 적용 가능성을 보고 배울 수 있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컸다. ... ...
-
- [포토뉴스] 수학 패턴 따라 먹이 찾는 배럴 해파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배럴 해파리는 그 무게가 30kg에 달할 정도로 몸집이 거대하다. 그만큼 먹는 양도 많아 오랫동안 해저를 누비며 먹이를 찾는다. 그런데 이 거대 해파 ... 탐지하는 능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레비 워크를 기존보다 훨씬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등의 혁신적인 우주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바르가바의 연구도 이처럼 ‘문제해결’의 개념 자체가 다양해지는 과정의 중요한 단계가 아닌가 생각된다 ...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코드가 실행되는 순서를 정리하는 명령어를 말한다. 19세기에 살았던 에이다가 정리한 이 개념은 1970년대에 ‘에이다’라는 이름의 정식 프로그래밍 언어가 됐다.앨런 튜링(1912~1954)수학 원리로 튜링기계를 선보이다!1936년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학자인 앨런 튜링은 특별한 기계를 세상에 소개했다. ... ...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합동’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를 사용했다. 정수론에서의 합동은 대수학의 개념으로 고등수학에서 배운다. ‘두 정수 a, b에서 그 차가 정수 m으로 나누어 떨어질 때 a, b와 m을 법으로 하여 합동’이라고 하며, 이를 ‘a≡b(mod m)’이라고 쓴다. 즉, 기호 ≡는 정수론에서의 합동으로 주로 사용되다가,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