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흙] 지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있답니다. Q 갯벌키퍼스는 어떤 활동을 하나요? 갯벌키퍼스는 각자 자신이 사는 곳과 가까운 지역의 갯벌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갯벌에 사는 생물을 관찰하거나 갯벌 생태계에 해를 입히는 위험요소들을 모니터링하지요. 생물을 발견한 시간, 장소, 날씨, 기온을 기록해요. 이 ... ...
-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불러요. 우리나라에서 인체유래물을 연구하려면 ‘기관생명윤리위원회’라는 곳에 연구 계획서를 제출해 심사를 받아야 해요. 연구자는 인체유래물을 기증하는 사람에게 반드시 동의를 얻고 연구 내용을 충분히 설명해야 하죠. 또한, 보존 기한이 지나면 인체유래물을 폐기해야 합니다. 기증자의 ... ...
- [이달의 과학사] 긴급전화 119, 언제 만들어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받아 통화를 원하는 곳으로 다시 연결해주는 식이었지요. 이런 수동식 전화는 원하는 곳의 전화번호를 누르면 자동으로 전화가 연결되는 자동식으로 점차 교체되었어요. 우리나라에는 1935년 10월 1일, 경성 중앙전화국에 처음으로 자동식 전화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때 화재를 알리는 용도로 ‘11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남에게 들키고 싶지 않은 소중한 보물이 있나요? 잠금장치 달린 금고 하나 있음 좋을 텐데…. 이런 생각을 했다면, 이번 메이커 스쿨에 주목하세요. 내 소중한 보물을 누가 손대지 못하게 몰래 보관하고 싶은 어과동 친구들을 위해 섭섭박사님이 금고 만들기에 도전했어요. 내가 만드는 메이커 ... ...
- [진흙] 생물이 바글바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지구시스템과학과 김진욱 교수는 “남태평양 환류 지역은 퇴적물이 매우 천천히 쌓이는 곳이라 물속의 산소가 퇴적층에 조금씩 침투했을 것”이라며 “덕분에 이 호기성 미생물은 최소한의 산소만으로도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용어정리* 남태평양 환류 : ... ...
- 하니가 옛집으로 돌아온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고향인 얼룩말은 우리나라의 추운 겨울에는 좁은 내실에만 갇혀 있어야 해요. 좁은 곳에 움추려 있다 보면 운동을 하지 못해 얼룩말의 건강이 나빠질 수 있어요. 또, 난방을 위해서 전기와 연료를 많이 써, 기후변화의 원인인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문제도 생기죠. 앞으로 청주동물원에서는 외국 ... ...
- [통합과학 교과서] 선녀가 원하던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것은 아니에요. 연구팀은 적철석이 발견된 곳은 연구팀이 지난 2018년 얼음을 발견한 곳이기 때문에, 물에 포함된 산소가 적철석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달에 충돌하는 먼지 입자들도 물 분자를 갖고 있어 철을 산화시키는 데 영향을 줬을 수 있지요. 연구팀은 2024년 예정된 NASA의 ... ...
- 우주에 뜬 인공 ‘눈’, 암흑선단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국제연합(UN)이 2017년부터 해외 어선이 물고기를 못 잡게 정한 곳이에요. 그럼에도 이곳에서 불법조업을 하는 해외 어선이 있는지 보기 위해 국제비영리단체 ‘글로벌어업감시(GFW)’가 나섰던 거지요. 2016년 설립된 GFW는 이전까지 어선의 자동식별장치(AIS)로 전 세계 조업 활동을 감시해왔어요. AIS는 ... ...
- [보존과학] 그림에 난 상처, 되돌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재료의 성분에 따라 흡수나 반사되는 정도가 달라요. 이를 통해 과거 보존처리했던 곳을 관찰하지요. 적외선 투과 이미지로는 스케치 선을 보고, X선을 이용하면 재료의 성분도 확인할 수 있지요. 현미경으로 물감층을 확대해 물감을 채색하는 순서, 붓 터치 방향 등 작가의 표현 기법도 분석한답니다 ... ...
- [헥!헥! 물리학자] 이 사막에서 원자 폭탄을 실험했다고? 맨해튼 프로젝트 한강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국립연구소에서 차로 4시간 정도 떨어진 사막에서 1945년 7월에 처음 이뤄졌어요. 이곳의 이름은 실험의 암호명 ‘트리니티’에서 이름을 따온 ‘트리니티 사이트’지요. 트리니티 사이트는 매년 4월과 10월 첫 번째 토요일에만 방문이 허락돼요. 필자도 핵물리학 연구자로서 역사적인 장소를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