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d라이브러리
"
교과서
"(으)로 총 1,39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핵심이 아닐 수 없다.이러한 기능들이 모두 요구됨은 역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관리란
교과서
식으로 다루어 질 수 없으며 프로젝트 성격 및 참여 인력에 대한 이해와 기술과 지식을 고도로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또다시 소프트웨어의 성공적인 개발의 어려움을 제시한다. 또한 바로 이 이유가 ... ...
지구과학 박물관과 과학관을 최대한 활용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년대 후반에 다소 퇴조하는 듯하였으나 80년대 중반부터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즉, 모든
교과서
또는 교재가 인류의 생활과 보다 더 밀접한 내용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중학교 실험실 자체는 고등학교에 비하여 빈약한 편이었으나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은 한결같이 자기 교실을 ... ...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지식도 적잖게 얻은 것 같아요. 그 좋은 예가 식물조사방법으로 군집조사단원이
교과서
에 나오는데, 실제로는 너댓가지의 조사방법을 현장에서 실시할 줄을 모르는 게 보통입니다. 그런데 한라산에서 김교수 지도로 식생을 조사하면서 식생조사표를 작성해본게 여간 산경험이 된 것이 아닙니다 ... ...
다양한 언어의 습득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힘든 시기였다. 그때 처음 내손으로 만져본 애플 컴퓨터는 나를 매료시키기 충분하였고
교과서
에서 배우던 컴퓨터에 대한 이해를 새로이 가지게 되었다.본격적으로 컴퓨터를 다루게 된 것은 대학입학후 컴퓨터써클에 가입하고 난 후였다.전공이 컴퓨터와 무관하지는 않지만 컴퓨터에 대한 호기심과 ... ...
PART 2 유럽에서 불어온 바람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어떠할까.선진제국은 북구의 영향을 받아 거의 같은 수준에 있다. 영국은 미국과 같은
교과서
를 사용하며 역시 남녀의 섹스신을 보여주면서 사실을 사실로서 전하려고 노력하고있다. 서독은 10여년전까지만해도 성 의식면에서 극히 보수적이었으나 지금은 완전히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있다. 북구의 ... ...
PART 3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경우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탈피해가는 것이다.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우간다 최대의 부족 '간다'족은 성교육의
교과서
나 부교재대신 어른의 성행위 장면을 어린이에게 보여 그것으로 교육한다는 것이다.할례가 끝나면 젊은이들은 한사람몫의 어른으로 인정 받아 섹스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섹스와 문화수준 왜 ... ...
여기는 땅의 끝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쪽의 빙하 옆에서 하늘을 바라보고 있으면 기상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어 마치 기상
교과서
를 한장한장 넘기고 있는것 같다. 아득한 서쪽의 대양 위에 구름이 나타나 시시각각으로 이쪽으로 다가온다. 바람이 더욱 심하게 불어 주변이 깜깜해지고 비나 눈이 엄습해온다. 구름은 방하에 부딪쳐 표고 ... ...
농경생활의 채택은 인류의 최대실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옮겨진 것에 대해 '문화의 진보'라는 평가는 보편적인것이었다. 세계 어느나라의
교과서
에서도 농경생활로 인류의 생활상태는 좋아졌다고 기술하고 있다. 물론 식물재배와 가축사육으로 식량이 늘어난 것은 틀림없는 사실. 그러나 이와 함께 농업사회에서는 계속 인구가 늘어나 결론적으로 '농경의 ... ...
전문화시대일수록 「교양독서」는 보다 절실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등학교에 입학한 이후
교과서
와 참고서 이외의 과학 관계 잡지나 도서를 읽은 것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학생이 조사 대상자의 84%라는 놀랄만한 조사 결과가 있다. 그나마 학생들이 읽은 책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공상과학 심령과학 ... ...
교사들의 경험이야기 누가 훌륭한 과학자가 되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뜯어 고친다거나 과학인구의 저변확대를 위한 각종 과학정보매체의 활성화 그리고 과학
교과서
부터 흥미있게 읽힐 수 있도록 고치는 일 등등이 모두가 시급한 일입니다. 이같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풍토에서는 훌륭한 과학자가 많이 배출되기가 어렵다고 봅니다. 박-저는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