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못 배우는 양을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다.기억력도 그렇다. 인공 뇌의 기억 용량을 크게 설계하면 사람보다 더 많은 정보를 기억하고 더 빨리 처리할 수 있다. 학습과 훈련이 다 끝난 상태의 인공 뇌를 복제할 수 있다면 뛰어난 지적 능력을 지닌 존재를 짧은 시간 안에 무수히 만들어 낼 수 있다는 ... ...
-
-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DNA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미국 하버드대 의대의 아이도 배철렛 연구원이 만든 이 로봇은 암세포만 골라 죽이도록 설계됐다. 지름은 약 35나노미터로 외부에는 2개의 앱타머가 있다. 앱타머는 DNA나 RNA 같은 이중 나선 형체로, 목표로 삼은 단백질과 3차원 결합을 해 해당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이다. DNA로봇의 앱타머는 ... ...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자체적으로 하나의 모형을 선정했는데, 다시 가압수형원전(경수로)이 1위로 뽑혔다. 표준설계인허가까지 난 SMART와 비슷한 형식이다.“차세대 원전을 이용한 소형모듈화원전으로 연구를 다각화하길 바랐는데 아쉬워요.”황 교수의 연구실 이름은 ‘핵재료연구실’이다. 핵재료라는 이름에는 차세대 ... ...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수학동아 l2012년 02호
- 빛을 쏘고, 물체 가까이 설치한 집광판에 되돌아오는 빛을 빠르게 모을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 때 집광판을 통과한 빛을 분석하면 ‘깊이’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에셔 박사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보다 작은 크기의 카메라로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가 ... ...
-
- 건설환경공학과학동아 l2012년 02호
- 1 건설환경공학이 뭐죠?기후변화 문제는 인간의 문명생활과 자연이 조화를 이뤄야 함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건설환경공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 ... 체험할 수도 있고 공무원 시험을 통해 국가 정책 입안을 담당할 수도 있다. 연구소나 설계회사의 문도 학사학위 취득자에게 열려있다 ... ...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헬리콥터형 나는 기계, 글라이더 등 많은 스케치를 남겼답니다. 심지어 ‘나는 배’도 설계했어요. 하늘도 날고 물에도 뜰 수 있는 비행기인 셈이죠. 만화영화 같다고요? 현대의 수상비행기와 위그선(수면비행선박)으로 실현됐답니다. 바다의 KTX라고 불리는 위그선은 올 3월부터 제주도에 갈 때 탈 수 ...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꿈꾸는 디자이너, 요리스 라만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수 없었답니다. 이 알고리즘은 뼈의 성장 과정을 그대로 표현하도록 설계 돼 있거든요.설계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수작업이 시작됩니다. 마치 저와 컴퓨터가 탁구 경기를 하는 것처럼, 서로 자신의 순서를 기다렸다가 상대방의 결과를 가지고 작업을 이어나가는 원리죠. 세포분열을 수학으로 풀어내 ... ...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동물이 안에서 고리를 당기거나 페달을 밟는 것처럼 특정 행동을 하면 문이 열리게 설계돼 있다. 고양이는 처음에는 상자 안에서 긁거나 할퀴고 물어뜯는 등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 그러던 중 우연히 페달을 밟거나 고리를 당겨 상자의 문을 연다.그리고 배불리 먹이를 먹는다. 횟수를 거듭하면 ...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선형가속기를 도입한 실험용 토륨 원전 ‘미라(MYRRHA)’를 건설하고 있다. 2014년까지 설계를 마치고 2019년 완공해 2023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방식은 원자로와 가속기 방식을 모두 실험할 수 있어 토륨 원전 상용화에 큰 전기를 마련할 전망이다.한국은 현재 연구에 거의 참여하지 않고 있다. 2 ... ...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감마선폭발에서 나오는 자외선과 가시광선, 근적외선이 추적망원경으로 들어오도록 설계돼 있다.반면 스위프트는 망원경이 광 경로를 향하도록 위성 자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60초 이상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그 사이의 빛, 즉 초기광의 정보를 얻을 수 없다. 그렇다면 초기광의 정보가 왜 중요할까.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