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글에서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마사이 갤러리는 야생에서 자연사한 동물만 복원했대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
식물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의 엄격한 심사에 걸맞은 동물을 대상으로 했지요.복원 동물과 함께하는 행복한 정글 탐험!세계동물대탐험전에서는 단순히 생생한 동물을 보는 것뿐 아니라 다양한 체험도 즐길 수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여기에 수억 년 전에 만들어진 화석연료 속 이산화탄소까지 공기 중으로 나온다면
식물
이 해결하기가 어렵다.똥과 쓰레기로 만든 친환경도시 예테보리스웨덴 예테보리는 에너지 대부분을 태양열과 지열, 그리고 똥과 쓰레기에서 얻는 대표적인 친환경도시다. 가축 분뇨와 쓰레기에서 메탄가스를 ... ...
사슴 vs 순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많이 살고 있었지만 일제강점기 때 사냥을 너무 많이 해서 현재는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포유류 1급으로 지정해서 보호하고 있답니다. 순록북극 툰드라 지역에 사는 사슴이에요. 산타클로스의 썰매를 끄는 루돌프가 바로 순록이지요. 캐롤 가사에는 루돌프가 매우 반짝이는 빨간 코를 가졌다고 해요. ... ...
색도 모양도 영양도 컬러풀~! 당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보세요. 가시가 잔뜩 나 있잖아요. 도대체 어떤
식물
의 씨길래 이렇게 징그럽죠? 분명 그
식물
도 징그럽게 생겼을 거예요.호호, 이건 우리가 먹는 당근의 씨란다. 이렇게 가시로 덮인 씨는 다른 곳으로 멀리 퍼질수 있지. 사람의 옷이나 동물의 털에 잘 붙기 때문이란다. 색도 모양도 다양한 ... ...
1억 6500만 년 전 위장의 달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것은
식물
을 흉내 내는 다른 곤충들과는 달리 우리 조상들은 속씨
식물
이 아닌 겉씨
식물
을 따라했다는 거예요. 일찌감치 위장술을 몸에 익힌 곤충이라고 할 수 있죠.나에게도 위장술을 알려 주지 않을래?우리들은 더 이상 위장술을 쓰지 않아요. 고대 은행잎은 공룡이 한창 번성할 때 멸종했거든요. ... ...
남극에도 꽃이 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네, 저는 지금 남극 세종기지 앞에 나와 있습니다. 12월이니, 지금 남극은 여름입니다. 하지만 여름이란 말이 무색하게 주위는 온통 하얀 눈밭이군요. 그리고 몹 ...
식물
이거든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주위에도 한 겨울 추위를 견디며 자라는 씩씩한
식물
이 있는지 한번 찾아보세요 ... ...
쇠똥구리가 쇠똥을 굴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똥을 굴리고 있지?더…, 더럽다니요? 똥은 우리한테 맛있는 먹을거리 라고요. 우리는
식물
의 잎이나 버섯을 먹고사는데요. ‘똥구슬’만 있으면 모든 영양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것은 먹지 않는답니다. 똥에는 물도 충분히 들어 있어서 따로 물을 마실 필요가 없어요. 똥구슬은 알을 낳아 ... ...
콩벌레 vs 쥐며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띠고 있고, 나무껍질, 낙엽, 돌 밑과 같은 습한 곳에 살지요. 쥐며느리도 썩기 시작한
식물
등을 먹어요. 하지만 쥐며느리와 콩벌레는 한 가지 다른 점이 있어요. 바로 몸 말기! 쥐며느리는 콩벌레와 달리 몸을 건드려도 몸을 둥글게 말지 않는 답니다. 이제 헷갈리지 않겠죠? 거대한 콩벌레 ... ...
전설 속 여우가 돌아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여우는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점점 수가 줄어들어 현재는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동
식물
1급으로 지정해서 관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발견된 여우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죽은 여우를 발견한 것을 끝으로 여우는 남한에서 자취를 감췄다. 이번에 복원하는 여우는 북한에서 기증받은 여우가 낳은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정도로 소화기에 부담이 되지 않지.고추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
이다. 새가 고추를 먹고 고추의 씨를 북아메리카 지역까지 퍼뜨렸다. 여러 탐험가들이 신대륙을 발견하고 고추가 여러 대륙에 전해질 수 있었다. 특히 1492년 스페인에 전해진 뒤에 열대지역과 아열대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