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체
몸
체격
육신
체구
골격
인체
d라이브러리
"
신체
"(으)로 총 2,004건 검색되었습니다.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말초로부터 대뇌로 운반되는 다양한 정보는 대뇌피질의 감각영역에 보내진다. 그런데
신체
부위에 따라 대뇌피질을 차지하는 범위가 상당히 차이가 난다. 특히 얼굴을 포함해서 씹는 행위와 관련된 말초기관 영역(악안면)이 차지하는 범위가 전체의 1/3를 차지할 정도다. 그만큼 뇌로 보내지는 ... ...
자연에 깃든 구조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젊은 사람들은 외모를 위해 마른 체격인데도 더 체중을 줄이려고 애쓰는 경우가 있다.
신체
구조를 무시하며 추구하는 허상적인 골격,자연의 조화를 무시하는 외모로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을까 싶다 ... ...
입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새로운 작품 25벌을 선보였다. 의상의 형태는 장애인을 위해 편리한 기능을 첨가한 것과
신체
의 능력을 확장·보완해 주는 것, 재미를 맛볼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의상 등 다양했다.일본에서도 1998년 ‘Wearables Tokyo[20]’이라는 명칭으로 입는 컴퓨터 심포지엄과 패션쇼를 개최한 바 있다. 또한 199 ... ...
샴쌍둥이 분리수술 생명윤리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접착쌍둥이 또는 결합쌍둥이라고 한다.
신체
의 앞뒤면 또는 옆면이 붙어 있는 경우부터
신체
의 극히 일부분만 쌍둥이가 공유하는 형태까지 다양한 경우가 존재한다. 또 이번 영국의 샴쌍둥이처럼 작고 불완전하게 자란 아이(기생체)가 보다 크거나 충실하게 자란 아이(자생체)에 붙어 있는 경우도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여러 신경과학자들이 노벨상 업적을 이룩할 수 있었다.두뇌는 소우주라 불리는 것처럼
신체
기관 중에 가장 복잡한 구조로 돼있으며 아직까지 풀지 못한 비밀이 무궁무진하다.뇌의 신비가 완전히 풀리기 위해서는 부분적인 접근과 함께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내려가면서 마지막에는 백색왜성으로 일생을 마치게 된다.한의원에서 진맥을 통해
신체
의 질병을 알아내는 것처럼, 간단해 보이는 별빛의 색을 통해 그 별의 표면온도에서부터 일생까지 알려주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속도를 규명하기 시작했고, 점차 평면적 분석에서 벗어나 3차원적 영상으로 동작시 각
신체
부위의 변화와 특성을 분석했으며, 발차기시 지면에서 생기는 반발력을 측정하는 포스플랫폼(지면반력측정기)을 이용한 연구로 확대됐다. 1990년대에는 태권도 경기시 호르몬과 효소 및 각종 피로물질의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세포는 증식하지 못하고 잠들어 버린다. 흥미롭게도 세포가 잠든 상태가 되면 기존의
신체
일부분으로서의 특징을 잊어버린다. 즉 배지 속 백두산호랑이의 체세포는 자신이 귀세포였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하나의 백두산호랑이 몸 전체가 되기 위한 유전 정보를 준비한다.다음은 귀세포를 키울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배아(embryo) 안쪽에 있는 세포덩어리를 떼어내고 여기에 특정 배양액을 처리한다. 그 결과
신체
를 이루는 2백10여개의 기관으로 자랄 수 있는 줄기세포(간세포, stem cell)가 만들어진다. 인간배아복제는 자궁에 착상시켜 복제인간을 탄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일이 주요 목표다.이 ... ...
중력의 임무(Mission Of Gravity)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착 달라붙은 납작한 외모를 소유하고, 강한 중력에 버틸 수 있도록 무척이나 단단한
신체
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도 '높이'를 매우 두려워한다. 강력한 중력으로 인해 위치에너지가 너무 커서 불과 몇 cm 높이에서 추락해도 치명적인 부상을 입기 때문이다. 메스클린의 무시무시한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