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적
공적
위업
성과
공훈
성취
달성
d라이브러리
"
업적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의 공헌에 대해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현재 인공위성의 궤도연구에대한 그들의 실질적
업적
으로 보아 국제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가지 특기할것은, 장춘(長春)인공위성 관측소의 소장은 한국출신의 최두성(崔斗星)이란 사람이다. 그는 우수한 천체역학의 이론연구가로서 미국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페트로프스키 교수가 교통사고로 휠체어생활을 하고 있는 여성을 실험대에 올려 근육을 컴퓨터로 자극하는 방법을 개발중이다. '위대한 한 ... 식히는가가 남겨진 과제이지만 반신마비인 사람이 걷게 된다면 페트로프스키 교수의
업적
은 노벨상감이 될 것이다 ... ...
적성과 진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좋다는 것은 어떤 학문을 하든지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다. 이공계분야 역시 연구
업적
을 글로 나타내야 하고 산업현장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여러사람에게 전달해야 하므로 글 잘 쓰는 사람이나 말 잘 하는 사람이 유리한 것은 두말 할 필요없다. 앞으로의 사회는 과학기술이 전체사회에서 차지하는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같은 분야가 미생물학과 생명공학의 연구 분야들인데, 실제 생활에서 많은
업적
을 남기고 있지만 이러한 것들의 많은 부분이 실제로는 적용이 힘들거나 가능성만을 제시하는 부분도 있다. 또 모든 과학자가 꿈꾸는 노벨상의 대부분도 현재로서는 미생물학자나 생명공학자들이 받고 있는 실정이다. ... ...
유전자는 재형성되면서 항체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질환인 알레르기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도네가와의
업적
은 이밖에도 예방접종을 개선시켜 혈구파괴같은 부작용이 없는 백신을 생산하거나 장기이식수술뒤 발생하는 거부반응을 억제해 이식된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응용될 수 있다. 또 면역기능의 ... ...
기초과학 위에 뿌리내린 첨단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과제로 남았던 왁찐 접종에 의한 전염병 에방법의 일반화에 성공 하였다.그의 최대의
업적
은 광견병의 백신제조에 성공한 것으로 이것이 계기가 되어 파스퇴르연구소가 창설되었다. 파스퇴르는 자신의 이름이 붙은 연구소의 초대 소장에 취임하였다.민간인들의 유산 기증도 많아파스퇴르연구소에 ... ...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차를 발견하여 오늘날의 '우뇌·좌뇌붐'의 길을 열었다는데서도 알 수 있듯이 선구적인
업적
을 많이 쌓은 사람이다.그가 태생기의 안드로겐이 면역시스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서 힌트를 얻어 어느쪽 손잡이 인가와 면역질환과의 관게를 조사한 결과 왼손잡이 쪽이 오른손잡이 보다 2.5배나 ... ...
도네가와박사 "일본인으로서 수상했다는 사실에는 아무 감회도 없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스위스의 바젤면역연구소에서 주임연구원으로 일했으며 그동안 개척자적인 수많은 연구
업적
을 남겼다. 81년에는 현재의 MIT교수가 된뒤 미국매사추세츠주 뉴튼시에서 살고있다. 그는 85년 일본 NHK 아나운서출신 부인 마유미(33)와 재혼, 9개월된 아들을 두고 있다."과학은 국제적인 것이고 과학자가 ... ...
초전도 물질의 실용화에 돌파구 열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일어나는 온도를 13도나 높이는
업적
을 이룩한 것이다. 그러나 이 엄청난 새로운
업적
은 처음에는 세계학계의 주목을 받지못했다. 초전도 현상을 증명하려면 전기저항이 0이 되는 상태와 함께 반자성(反磁性)의 마이스너효과가 확인돼야 하는데 당시 이들은 측정시설과 장비부족으로 이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선정의 문제는 노벨상 수상자들이 그들의 인터뷰에서 많은 경우 수상내용이 자신의 최고
업적
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자주 대답하기 때문에 더욱 분명해진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노벨상을 탈만한 정도의 인물이 노벨상을 타지 못한 예가 수두룩하다. 과학수준의 전반적 향상이 관건지금까지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