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연구원팀이 각각 인공지능과 드론을 이용해 새로운 지상화 백여 점을 더 발견했지요. 연구원들은 이곳에서 지상화 천여 점을 더 찾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비켜비켜! 나 지금 급해! 달 표면에서 탐사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배가 살살 아픈 거야. 참을까 말까, 쌀까 말까 고민하다가 결국 우주선으로 돌아가기로 했지. 우리 우주선에는 달 탐사를 위해 특별히 만든 화장실이 있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 ... ...
- [한 장의 과학] 왜곡된 별빛을 찾아라! ‘나홀로 행성’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별을 중심으로 궤도를 도는 규칙도 없기 때문이지요.그런데 지난 10월 29일,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팀은 칠레에 있는 바르샤바망원경과 칠레와 호주, 남아공에 있는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망원경으로 우리은하 중심부 원반 부근에서 나홀로 행성을 찾았어요. 이 행성의 질량은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만 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이용해요.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도 WLCG에 속하는 덕에 국내 연구원도 LHC에서 이뤄지는 실험에 참여할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 *쿼크 :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기본 입자 중 하나. 바텀 쿼크를 포함해 6가지 종류가 있다.*μm(마이크로미터) : 길이 단위. 1μm는 1mm보다 1000배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과학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래 과학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보이지요. 올해 수상한 연구 중에 맘에 드는 분야가 있다면 여러분도 ‘PICK’ 해 ... ...
- 내가? 아니, 뇌가 하는 생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담당하는 뇌 부위를 손상시켜요. 현실에서도 가능한 일일까요?한국뇌연구원 김구태 연구원은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마이클 C. 앤더슨 연구팀은 2009년, 원치 않는 기억이 떠오르지 않도록 노력했을 때, 실제 기억하는 정도가 줄어드는지 실험했다”며 “기억을 떠올리지 않으려고 노력할 때 인지를 ... ...
- [과학뉴스] 택배 박스 줄게, 친환경 연료 다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달리 미세먼지나 온실기체를 거의 내뿜지 않는 친환경 연료로 손꼽혀요.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이선미 박사팀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자일로스까지 소화하는 미생물을 개발했다고 10월 13일 발표했어요. 일반 미생물 야로위아 리폴리티카(Yarrowia lipolytica) 역시 목질계 ... ...
- [시사과학]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스탠’, 무려 368억 원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않기 때문에,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수도 없어요.서울대학교 고생물학 연구실의 이성진 연구원은 “이번 경매가 장기적으로 일으킬 파장이 더 걱정된다”며, “스탠이 엄청난 가격에 팔리면서 앞으로 보존이 잘 된 화석의 가격이 상승하고, 상업적 화석 발굴과 거래가 늘어날 것”이라고 ... ...
- 노벨물리학상│아인슈타인도 반대한 블랙홀, 펜로즈가 증명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블랙홀 내부가 어떤지 여전히 모르는 이유지요. 한국기술정보연구원 강궁원 책임연구원은 “특이점이 있다는 건 이 근처에서는 일반 상대성이론이 틀렸다는 뜻”이라며, “특이점을 이해할 새로운 중력 이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하루에 넌 몇 번 생각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뇌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한국뇌연구원 김구태 연구원은 “현대사회에서 많이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가 불편한 생각을 통제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가 많다”며 생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를 밝혔답니다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