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잡힐 듯 말 듯 신기한 스케치북 속 3D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속이고 있는 거랍니다.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작품을 찍은
영상
이 나와요. 이
영상
에서 보는 각도에 따라 그림이 평면으로 보이기도 하고 입체처럼 보이기도 한답니다. 직접 확인해 보세요.엉뚱함이 곧 예술 아이디어!작가의 신기하고도 기발한 그림은 엉뚱한 상상에서 탄생했어요. ... ...
알록달록 아름다운 머릿속 실타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과학자들은 MRI(자기공명
영상
장치)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뇌세포의
영상
에 색깔을 입혀 예술작품을 만들었어요. 사진은 70대 노인의 뇌를 MRI로 촬영해 만든 사진이에요.그들은 뇌세포를 관찰하다가 영감을 얻었대요. 1000억 개가 넘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들을 이어주는 연결조직들이 실타래가 ... ...
밀물 썰물로 전기가 찌릿찌릿 시화호 조력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문을 열었어. 조력문화관 1층에는 에너지의 중요성을 담은 애니메이션이 상영되는 4D 서클
영상
관이 있어. 달의 요정을 찾아 떠나는 바다 생물들의 모험을 360도로 펼쳐진 화면으로 만날 수 있단다.2층으로 올라가면 다양한 에너지 원리를 체험하는 에너지놀이방과 달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별과 사진’ 홈페이지(blog.kwonochul.com)에 들어가면 사진을 연속으로 찍어서 만든 타임랩스
영상
도 감상할 수 있어요.계절에 따라 변신하는 은하수우리 은하를 투명한 접시라고 상상해 봐요. 지름이 10만 광년이나 되는 커다란 접시죠. 빛의 속도로 달려도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가는데 10만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구현해냈다. 박 연구위원은 “글자와 대략적인 그림만으로 알고 있던 현상이 눈앞에
영상
으로 펼쳐지는 모습이 경이로웠다”며 이 작업을 해낸 미국 칼텍 교수인 킵 손과 영화 제작팀에 경의를 표했다.놀란 감독은 주인공이 가르강튀아를 향해 갈 때 ‘커 블랙홀’과 펜로즈 과정을 이용해 극적인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장보고과학기지 제1차 월동대 이창섭 대원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남극 오로라 사진과
영상
을 찍어 보내온 바 있다. 남극은 태평양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데, 태평양 방향에서 남극과 가장 가까운 곳은 공군 수송기로 8시간이 걸리는 뉴질랜드다. 남극을 여행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남아메리카 끝단,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느낄 수 있다.토토로 뒤편의 빗줄기는 끊임없이 아래로 흐르는 것 같지만, 사실은 같은
영상
을 반복 재생한 것이다. 바닥의 낡은 느낌은 별도의 ‘에이징’작업을 통해 구현했다. 또한 평범했던 천장을 높이 뚫어, 실내가 아니라 진짜 밖에 서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Σ 진로정보사람의 오감을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볼 수 있었던 일이 5G 기술로 현실화되는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과 입체
영상
도 볼 수 있다. 이런 5G 기술이 당장 상용화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5G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 기술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5G 가능하게 하는 수학이동통신 시스템은 디지털부와 ... ...
[과학뉴스] 나이 들면 쇼핑도 힘들어!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판단하는 속도와 점수 결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판단 과정에서 촬영한 fMRI
영상
에서는 선명한 차이가 드러났다. 물건을 판단할 때 노인의 뇌 중 복내측 전전두엽이라고 부르는 부분이 젊은이에 비해 선명하게 반응했다. 이 부분은 기억력과 관련이 있는 곳이다. 연구팀은 “판단능력에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수 있다. ‘타코마대교 붕괴’가 대표적인 사건이다. 아래 QR코드를 통해 당시 붕괴
영상
을 볼 수 있다. 그네처럼 케이블에 매달려 있는 구조의 타코마대교는 작은 바람에도 쉴새없이 흔들리다 개통된 지 넉 달 만에 폭삭 무너지고 말았다. 설계상으론 초속 60m의 강풍에도 견딜 수 있게 만들어졌지만,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