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고온의 빛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터였다. 천문학자들은 AGN의 엔진이 같은 원리일 거라고 추정했다. 설사 AGN이 태양처럼 빛을 내는 항성이라고 가정해도, 이렇게 좁은 공간에 밀집시키면 결국 블랙홀이 될 수밖에 없었다.AGN의 정체는 알게 됐지만, 더 큰 수수께끼가 줄줄이 제기됐다.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정확한 작용 원리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부분들이 많다.테아닌만이 아니라, 다른 성분들에도 주목해야 한다. 슬로우 카우에는 캐모마일, 길초근, 시계초 등 다섯 가지 물질이 더 첨가돼 있다. 여기에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나 있다는 점도 같았다. 연구팀은 이들이 다리털을 이용해 벽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원리로 수직으로 올라가거나 천장에 거꾸로 붙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개구리와 도마뱀은 털 대신 빨판이 달려 있다. 얼핏 보기에는 부드러워 벽에서 잘 미끄러질 것처럼 보이지만, 끈끈한 액을 내거나 눈에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학문의 매력을 한마디로 말해주세요.깔끔함이요. 제가 고등학교 때 추상적으로 핵융합 원리 같은 걸 생각하는 게 좋았다고 말했잖아요. 그래서 사실 대학에 입학해서 처음에는 물리학을 전공하려고 했어요. 그런데 막상 공부해보니 추상적으로 상상해볼 때와는 다르더라고요. 물리는 의문이 남는 데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다중신호 천문학(Multi-messenger Astronomy)’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세 신호는 발생하는 원리 자체가 다르다. 전자기파는 전자기력, 중성미자는 약력, 중력파는 중력과 관계가 있다. 김정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측정하는 방법과 얻을 수 있는 정보도 다르다”면서 “시각, 청각, 촉각으로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보이지 않는 펨토미터의 세상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 눈에 보이는 물질세계와 우주의 원리를 더 깊이 파악하는 일일 뿐만 아니라, 산업계에 필요한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그건 나노 과학만으로는 불가능하다.Q : 응용연구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무엇인가.A : 재료과학 분야다.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다음 송곳으로 구멍을 내면 탄산의 압력 때문에 캔이 바깥쪽으로 폭발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머리를 관통하면서 총알의 속도는 다소 줄어들지만 회전 반경은 더 커진다. 이 때문에 총알은 폭발하듯 뼈를 빠져나오면서 크고 불규칙한 형태의 출구를 만들어낸다(아래 그림). 입구에서 시작된 방사형 ...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2014년 7월 14일, 한 주물업자가 10원짜리 동전 40만 개를 녹여 팔려다가 한국은행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10원짜리 동전 한 개에 들어있는 구리의 가치가 약 30~4 ... 수 있다. 합금인 10원짜리 동전 속 두 금속의 비율을 계산해보며 아르키메데스가 생각해낸 부력의 원리를 생각해보자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공 와우 개발도 활발하다. 한국기계연구원과 서울대 공동 연구팀은 2014년 달팽이관 원리를 그대로 모사한 ‘생체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 소자’를 개발했다. 외부 음성처리장치 대신 서로 길이와 두께가 다른 유연한 압전소자 여러 개의 물리적 변화를 이용했다. 현재 쥐 실험만 진행 중이며,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간의 피조물인 기계사이에 단절된 경계는 없으며, 인간 정신을 설명하는 동일한 원리나 개념을 이용해 생각하는 기계도 만들 수 있다. 인간과 기계 사이에 존재했던 불연속의 해체는, 비단 인공지능 뿐만 아니라 인간 자신의 기계화(사이보그)라는 자기 변형의 문제와도 연관돼 있다. 사이보그는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