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줄기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 모양의 원천 나선형의 세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있다.왼쪽페이지 사진은 싱가폴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 예리한 가시가 나선상으로
줄기
를 휘감고 있다. 이것도 역시 안쪽의 부드럽고 약한 조직을 지키고 있음이 틀림없다. 왼쪽 사진은 나비의 머리부분이다. 문어발처럼 말려있는 두개의 가늘고 긴 관은 꽃에 있는 꿀을 빨기 위한 흡입관이다. ... ...
사슴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10춸초 휴전선의 서부전선에서였다.당시 소대장이던 필자는 대원들과 순찰중 임진강 물
줄기
를 타고 필사적으로 헤엄쳐 남쪽으로 내려오는 노루 한마리를 발견했다. 몇년뒤에 이 노루가 사슴이란 사실을 알게 됐지만 그때는 노루라고 믿었다. 노루의 남하를 발견한 나와 대원들은 잽싸게 몸을 낮게 ... ...
특히 아름답고 희귀한 왕오색나비와 홍점알락나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한다. 간혹 잎표면에 산란하는 것도 있는가 하면 식수의 작은 나무가지에서
줄기
까지 날개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산란을 하기도 한다. 홍점알락나비가 몇개나 산란하는지는 확실치 않다.■알 : 왕오색나비의 알은 거의 둥근공 모양인데 알의 직경이 1.65㎜이고 높이가 1.49㎜이다. 산란 직후에는 ... ...
PARTⅡ 세포에도 시계가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리듬을 나타내고 있어 실험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다.단세포식물인 사갓말은 기부와
줄기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부속에는 세포핵이 포함되어 있는데 핵의 제거는 간단히 기부를 잘라내는 것으로 완료된다. 하지만 이런 처치를 해도 세포는 죽지 않고 수개월 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그래서 매우 ... ...
콩을 다년생 초본으로 개발한 주역 장권열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여기서 눈과 뿌리가 나왔다. 이렇게 되기까지 몇천번이고 되풀이 했다. 그런 뒤에
줄기
가 생기고 잎이 자랐다. 이러기까지도 모두 시험관 안에서 이루어졌다. 콩을 시험관 안에서 배양했다는 것도 획기적인 일이다. 시험관 안에서 배양할 수 있는 식물은 우리나라에선 아직 벼와 담배 뿐이라는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나의 경험으로는 보통 높은 레벨의 엑스선과 감마선을 2, 3개월 계속하여 조사하면
줄기
에 이상이 생깁니다. 또 드물게는 인(燐·Phosphorus)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의 베타선을 불과 24시간 조사해도 같은 현상이 생깁니다. 즉 관찰한 식물의 이상은 79년 3월의 죽음의 재에 의해 일어났을 ... ...
한글화 시킨 컴퓨터 언어 「늘품」① 컴퓨터가 우리말을 알아듣는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그 말결의 낱말들은 다른 말결에서는 있는지조차 알 수 없다. 다른 늘품결은 모든 낱말의
줄기
가 되므로 그 뜻을 모든 결에서 알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어느 말결에 새로 지어 넣는 낱말들은 그 말결이나 늘품결에 이미 있는 낱말들은 사용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즉 우리가 사전에 없는 말을 쓰면 ... ...
나무 달력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가능하다. 그리고나서, 그 무늬를 이를테면 30년전에 잘려진 것으로 알려진 어떤 나무
줄기
의 무늬와 맞추어 볼 수 있다. 30년 전에 베어진 나무의 무늬는 지난 30년동안 계속 자라온 오늘날의 나무 무늬와 맞을 것이다. 만약, 오래된 나무가 지금의 나무보다 더 일찍 성장을 시작하였다면, 이미 알려진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바위위의 갈라진 틈으로 파고들어 가면서 끊임없이 산성 수액을 분비하여 바위를 침식,
줄기
의 몇배나 되는 길이로 뻗고 있다. 이렇게 하여 얼마 되지 않는 물이나 양분을 빨아 거센 바람에도 쓰러지지 않게 서 있는 것이다.또 솔방울 속의 씨는 돛과 같은 역할을 하는 얇은 막이 있어 바람을 타고 ... ...
생물 현장에서 익히는 생태계 학습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후인 금년 여름 한꺼번에 성충이 되어 실컷 울어대다가 다시 나무
줄기
끝 잎에 알을 낳고
줄기
끝을 부러뜨려 놓았던 것이다.이같은 자연현상의 변화는 곧 좋은 실습거리 돼 생물시간을 이용, 현장에 가서 매미가 유충에서 성충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배우는 것이다.지금까지 단편적으로 살펴본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