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결빙방지단백질에 주목하고 있어요. 결빙방지단백질은 지난 1969년 미국의 동물학자인 아서 드브리스가 남극에 사는 경골어류에서 발견한 물질이에요. 추운 온도에서 체액이 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지요.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지난 2010년, 국내 연구팀도 북극에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 해안가에서 발견한 러버덕을 들고 있는 커티스 에베스메이어 연구원. 미국 해양학자 커티스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이 오리들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시작했어요. 고무로 만들어진 러버덕은 수면 위를 떠다니기 때문에 바닷물의 표면을 흐르는 표층해류를 따라 움직이기 쉽거든요. 러버덕을 ...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로스탕의 실험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해요. 장 로스탕은 최초로 동물 세포를 냉동시킨 과학자예요. 개구리의 정자에 글리세롤을 넣어서 얼린 결과, 정자의 세포를 망가트리지 않고 냉동시키는 데 성공했답니다. 로버트 에팅거는 사람도 냉동시켰다가 해동하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습지탐사, 그리고 밤 탐사와 결과물 발표로 구성됐어요. 먼저 낮 탐사는 영국의 동물학자 ‘제인구달’의 이름을 딴 숲길인 ‘제인구달길’에서 진행됐어요. 이곳에서 대원들은 왕자팔랑나비, 붉은산꽃하늘소, 고마로브집게 벌레, 알락하늘소 등 다양한 곤충들을 관찰했지요. 그 중에서도 앙증맞은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각종 탐사선과 위성을 통해 실제로 태양풍이 관측되면서 그의 예측이 증명됐지요. 과학자들은 이번 탐사를 통해 파커의 이론을 확인하고, 더 자세한 태양 활동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크기 3m, 무게 685kg의 파커 솔라 프로브는 2018년 7월 31일부터 8월 19일 사이에 미국 플로리다에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문제는 아직까지도 빅뱅 우주론이 풀지 못하는 숙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호킹은 수학자 로저 펜로즈가 제안한 설명을 발전시켜서 이런 특이점이 나오는 것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결과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특이점이라는 현상을 물리학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그런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용하는 이 방법은 주로 일본 학자들이 쓰는 방식인데, 동 씨가 e메일 등을 통해 일본 학자에게 직접 문의해서 알아냈다. 그는 “이렇게 하면 개미 외에도 다양한 토양 동물을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곧 일본장다리개미(Aphaenogaster japonica), 장님침 개미(Cryptopone sauteri)가 발견됐다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위해서는 원자로의 모든 부분에서 k값을 알아야한다. 1872년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루트비히 볼츠만은 위상 공간에서 시간에 따른 입자수의 분포를 예측하는 ‘볼츠만 방정식’을 발표했다. 이 식을 이용하면 k를 계산할 수 있다. 문제는 이 방정식이 너무 어려워 사람의 손으로는 절대 풀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나는 거예요. 그러면 잠을 못 자거든요. 가장 닮고 싶은 수학자는 누구인가요?여러 수학자의 장점을 다 모아서…(웃음). 박사과정 지도교수이신 하승열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님과 박사후연구원 당시 멘토였던 호세 카리요 영국 UCL 수학과 교수님을 닮고 싶어요. 특히 하승열 교수님의 열정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는지도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입니다.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는 아마추어 수학자의 기여로 재밌는 연구 결과가 나온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수학동아 독자들도 언제가 이런 기여를 할 수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