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로스탕의 실험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해요. 장 로스탕은 최초로 동물 세포를 냉동시킨 과학자예요. 개구리의 정자에 글리세롤을 넣어서 얼린 결과, 정자의 세포를 망가트리지 않고 냉동시키는 데 성공했답니다. 로버트 에팅거는 사람도 냉동시켰다가 해동하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밝은 노란색 선을 발견했지요.같은 해 10월, 영국의 천문학자 ‘노만 록키어’도 같은 노란색 선을 관찰하고, 태양에 지구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원소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태양을 뜻하는 그리스어인 ‘헬리오스’를 따서 ‘헬륨’이라는 이름을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결빙방지단백질에 주목하고 있어요. 결빙방지단백질은 지난 1969년 미국의 동물학자인 아서 드브리스가 남극에 사는 경골어류에서 발견한 물질이에요. 추운 온도에서 체액이 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지요.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지난 2010년, 국내 연구팀도 북극에서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습지탐사, 그리고 밤 탐사와 결과물 발표로 구성됐어요. 먼저 낮 탐사는 영국의 동물학자 ‘제인구달’의 이름을 딴 숲길인 ‘제인구달길’에서 진행됐어요. 이곳에서 대원들은 왕자팔랑나비, 붉은산꽃하늘소, 고마로브집게 벌레, 알락하늘소 등 다양한 곤충들을 관찰했지요. 그 중에서도 앙증맞은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각종 탐사선과 위성을 통해 실제로 태양풍이 관측되면서 그의 예측이 증명됐지요. 과학자들은 이번 탐사를 통해 파커의 이론을 확인하고, 더 자세한 태양 활동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크기 3m, 무게 685kg의 파커 솔라 프로브는 2018년 7월 31일부터 8월 19일 사이에 미국 플로리다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특별히 좋아하는 빛의 색깔이 있을까요?1884년 독일의 식물학자 엥겔만은 이런 궁금증을 품고 한 가지 실험을 했어요. 해캄과 호기성 세균을 함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고 어두운 곳에 두었다가, 프리즘에 통과시킨 빛을 비추었지요.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파장에 따라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애니스톤 ‘패턴’의 일부였던 셈이다. 얼굴 인식 기능도 학습으로 발전지금도 뇌 과학자들은 얼굴 인식 과정을 밝혀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는 얼굴 인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발표됐다. 여기서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얼굴을 인지하고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도 있어. 우리가 카메라로 찍어 준 사진과 영상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거라 믿어. 과학자들이 그걸 연구해서 우리가 남극에서 어떻게 적응해서 살아왔는지 파악하고, 조사 결과를 이용해서 환경이 변하면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함께 고민해주길 바라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호의는 꼭 도움이 필요한 순간을 위해 아껴두고 싶으니까. 그 때가 되면 유황불 속의 생물학자가 과연 어떠한 도움을 내게 제공해줄지, 그 의문이 마침내 풀릴 순간을 나는 조용히 기다리고 있다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용하는 이 방법은 주로 일본 학자들이 쓰는 방식인데, 동 씨가 e메일 등을 통해 일본 학자에게 직접 문의해서 알아냈다. 그는 “이렇게 하면 개미 외에도 다양한 토양 동물을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곧 일본장다리개미(Aphaenogaster japonica), 장님침 개미(Cryptopone sauteri)가 발견됐다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