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뉴스
"
거대
"(으)로 총 1,4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창업생태계 조성에 '다 걸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1.21
미래부 중심의 범부처 창조경제 지원과 발사체 개발·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등
거대
사업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정부R&D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창조경제를 실현하고 과학기술이 ‘더 행복한 대한민국’을 ... ...
올해 R&D예산 2조 1009억원...지난해 대비 10%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한국형 발사체 개발과 관련한 우주개발 분야와 원자력 분야 등
거대
과학 분야 예산이 대폭 늘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2014년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15일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인공위성개발, 한국형 발사체 개발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⑤ 국내 학술지 현주소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미국과 유럽의
거대
출판사들과 경쟁하려면 중국이나 일본과 협력해 아시아권의 역량을 통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있는 물질을 개발한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학자. 사이언스 제공 울퉁불퉁한 행성에
거대
한 물체가 접근하는 듯한 그림은 체내 면역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일을 표현했다. ‘사이언스’가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로 선정한 ‘암 면역치료법’을 표지에 실은 것. 그림 왼쪽의 갈색 물체는 ... ...
‘천상의 입자’, 땅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9
고에너지물리학회에서 처음으로 ‘힉스’ 입자라고 이름 붙였다. CERN은 지난해 7월
거대
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한 양성자 충돌 실험을 통해 힉스 입자로 추정되는 새로운 소립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 뒤 이 소립자가 힉스 입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해왔다. 마침내 연구진은 힉스 ... ...
달 탄생 기원 ‘금성’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최근까지 과학자들은 원시지구에 화성 크기의 행성체가 충돌해 달이 탄생했다는 ‘
거대
충돌설’을 지지해왔다. 지난해에는 이를 보완한 두 개의 가설들이 새롭게 등장했다. 첫째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던 원시지구에 행성체가 충돌하면서 지구 맨틀에서 튕겨 나온 물질이 응축돼 달이 ... ...
인류의 오만함을 어찌 모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축은 ‘가이아’로 의인화된 지구의 ‘읖조림’이다. 책에서 가이아는 수 억 년 전
거대
인류를 탄생시키고 우주로부터 날아오는 소행성을 방어하기 위해 당시 인류(17m)의 10분의 1 크기(170cm)의 미니 인간을 만들어내는 과정, 그리고 다시 미니 인간들이 지배하는 현재의 지구에서 가이아가 느끼는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1
우리나라의 날씨는 천문학을 하기에 그리 좋은 날씨는 아닌 것 같다. 필자가 전에 ‘
거대
마젤란 망원경’을 건설하기 위한 건설비를 구하기 위해 일할 때의 에피소드가 생각났다. 이 망원경은 약 7천억 원이 소요되는 망원경인데, 지금 칠레의 사막 지역에 있는 라스 캄파나스에 건설되고 있다. ... ...
[채널A]‘쌍둥이 블랙홀’ 존재 은하 최초 포착
채널A
l
2013.11.13
구분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칠레에 있는 유럽남천문대의
거대
망원경을 이용해 블랙홀이 뿜어내는 미세한 가스 성분을 분석해 찾아냈습니다. 이번 연구는 11일 영국 왕립천문학회지에 실렸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 ... ...
충돌 직전 쌍둥이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거대
블랙홀과 은하는 충돌을 통해 서로 병합하면서
거대
하게 진화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이번 발견은 전문가들의 이론을 증명할 수 있는 유력한 증거가 된 것이다. 이번에 발견된 쌍둥이 블랙홀의 물리적 특성과 블랙홀과 블랙홀의 충돌과정을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