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뉴스
"
거대
"(으)로 총 1,4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2015.01.11
거대
가속기와 힉스에 관한 이야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앞으로 남은 입자 사냥과 더불어
거대
한 가속기가 없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물리학을 연구해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견해도 밝힌다.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그래도 물리학자 입장에서는 고양이만큼이나 크다. 실험의 결론은 간단하다. 이런
거대
분자도 파동성을 보인다. 즉, 여러 개의 줄무늬가 나온다는 말이다. 차일링거는 분자의 크기를 점점 더 크게 해가고 있는데, 1차 목표는 인슐린으로 파동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에는 고양이로도 ... ...
매머드 멸종 불러온 빙하, 혜성 충돌 탓 아니었어?
2015.01.07
- MCDinosaurhunter 제공 최대 크기 4m에 몸무게는 8~9t에 이르고 온 몸이 털로 덮여있던 ‘
거대
코끼리’ 매머드. 이런 매머드의 멸종을 가져온 1만2900년 전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가 혜성 충돌 때문에 도래한 것이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피터 사이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찾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08년 가동에 들어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
강입자가속기(LHC)가 초대칭입자 사냥에는 실패했지만 힉스입자 검출에 성공하면서 초대칭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더 큰 규모의 가속기(둘레 100km에 이르는) 건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규모가 커질수록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추적할 뱀 배아 3위-인공 핵융합에 한발짝 더, ‘Z 머신’ 4위-드물게 포착된
거대
쌍성의 병합 5위-6000만 년 전 북극의 비밀을 찾아서 6위-4년6개월 간 알 품은 ‘슈퍼 맘’ 문어 7위-플라스틱에서 얻은 바위 8위-원시 부족과 문명의 첫 만남 9위-수영하는 공룡, 스피노사우르스 10위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볼 수 있다. 쿠퍼 또한 과학적 지식을 이용해 아멜리아를 위기에서 구해낸다. 회전하는
거대
블랙홀 가르강튀아에 접근해 인듀런스호가 고속으로 항해하던 도중 쿠퍼는 자신이 탄 우주선을 분리시켜 블랙홀 안으로 밀어넣고 아멜리아가 탄 우주선 본체는 블랙홀 바깥으로 내보낸다. ‘펜로즈 ... ...
쥐 세포나 코끼리 세포나 평균크기는 0.001mm
2014.12.08
제공 포유류의 평균 세포 크기는 0.001mm다. 쥐처럼 작은 포유류에서부터 코끼리 같은
거대
포유류에 이르기까지 세포의 평균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미국 프린스턴대 연구진은 세포의 크기가 그 이상으로 자라지 않는 이유가 중력 때문이라는 사실을 5일 미국세포생물학회에서 발표했다. ... ...
영화 '인터스텔라' 속 과학이야기
과학동아천문대
l
2014.12.04
행성은 물이 가득해 생명체가 살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지만, 블랙홀의 조석력이
거대
한 파도를 일으켜 생존할 수 없는 곳임을 확인한다. 특이한 사실은 중력 차이로 이 행성에서 보낸 1시간이 지구의 7년과 같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강유전체를 통과하는 양자역학적 흐름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정 연구원은 “
거대
전극효과의 원리를 밝힌 만큼 강유전체로 터널접합소자를 만들 때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달 17일자에 실렸다. ... ...
‘포악한
거대
육식공룡’ 수각류에 대한 3가지 오해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11일자에 스피노사우루스를 복원한 결과를 공개했다. 키가 15m, 몸무게는 무려 20t인 이
거대
공룡은 유난히 골반이 작고 뒷다리 뼈도 짧다. 연구팀은 이런 다리로는 중력을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땅을 딛는 것보다 물에서 헤엄쳤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땅 위에서도 티라노사우루스처럼 두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