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뉴스
"
유전공학
"(으)로 총 1,396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KAIST 연구진, 세계 최초 대장균으로 휘발유 생산
채널A
l
2013.10.01
[앵커멘트] '백 투 더 퓨처'란 SF 영화에는 쓰레기로 가는 자동차가 나오는데요. 국내 연구진이 대장균으로 휘발유를 만드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대장균으로 가는 차'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현경 과학전문기잡니다. [리포트]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유. 탄소와 수소가 주 성 ... ...
"GM작물, 막연한 불안감보다 현실을 직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언제부터인가 수입 가공 농산물로 만든 식제품에 들어가는 곡물이 유전자변형(GM) 농산물인지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생명공학 연구 분야에서도 GM 농산물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안전성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아서 불안하다는 목소리가 더 큰 것도 사실이다. ... ...
"식품연구는 음지서 양지를 지향하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한국식품연구원 윤석후 원장 - 한국식품연구원 제공 과학자와 스포츠 해설위원. 어떻게 연결되는 것일까. 한국식품연구원 윤석후 원장은 1998년부터 원장 취임 전까지 SBS ESPN 미식축구 해설위원으로도 활약했다. 선입견 때문이었을까. 10일 경기도 성남시 한국식품연구원에서 만난 윤 ... ...
석유 고갈? 바다 밑을 더 파보면 해결책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4
동아일보DB 제공 폭염과 열대야에 시달린 올 여름에도 여지없이 그 원인으로 지구 온난화가 지적됐다. 지구 온난화를 유발시키는 주범은 다름 아닌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 그렇지만 풍력이나 태양광, 조력,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효율이 화석연료를 따라가지 못해 없어서도 안된다. '필 ... ...
"잘키운 생명공학 인재, 한국판 몬산토 밑거름"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농진청 연구운영과 이지원 과장. - 전준범 기자 제공 “현재는 국가가 앞장서서 큰 그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셈이죠. 그러나 앞으로는 민간기업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줘야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몬산토 같은 글로벌 농업생명공학기업이 나와야 하지 않겠습니 ... ...
레이저로 만든 집게, 최고의 유전자 배달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하는 유전자를 세포 안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광주과학기술원 이용구 기전공학부 교수팀은 세포에 레이저로 구멍을 뚫고 유전자를 집어넣는 ‘광집게’ 장치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용구 교수 - 광주과학기 ... ...
이제는 '암' 걱정 말고 줄기세포 치료받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줄기세포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를 통한 치료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문제는 줄기세포치료제의 가장 문제 중 하나인 부작용은 줄기세포가 암세포 발전할 가능성도 크다는 것.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 ... ...
DNA를 잘라 질병을 치료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사람의 피부세포에 유전자 4개를 섞어 만든 유도만능줄기세포(iPS) - 동아일보DB 제공 우리 몸에는 200여 종류의 세포가 있는데 어떤 유전자가 발현되느냐에 따라 세포의 종류도 결정된다. 이 때문에 생명공학자들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한 종류의 세포를 다른 종류의 세포로 전환하려는 ... ...
[기고/서석철]식량문제 해결 생명공학에 길이 있다
동아일보
l
2013.08.13
[동아일보] 오늘날 전 세계 20억 인구가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다. 세계 인구는 2050년까지 두 배로 증가할 것이며 인구 증가의 97%는 빈국에서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빈곤, 식량 공급의 불안정 및 영양실조의 주요 원인으로는 빈약한 농업생산량이 꼽히고 있다. 더불어 지구온난화로 급격 ... ...
'산업용 미생물 균주' 대량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09
이상엽 특훈교수(좌)와 유승민 연구교수(우) - KAIST 제공 원하는 원료만 만들 수 있는 맞춤형 산업용 미생물 균주 생산 속도를 빨리 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와 유승민 연구교수 연구팀은 나일론 같은 산업용 화학원료 생산에 필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