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이라에서 마약성분 검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독일 뮌헨 대학 인류유
전
연구소 연구그룹은 이집트 미이라를 조사한 결과, 2천~3천년
전
이집트에서 코카인과 하시시(대마초로 만든 마취제의 일종)등의 마약 ... 마약을 사용하는 관습이 있었다는 것이 처음으로 증명됐다. 마약을 어떤 형태로든지 3천년
전
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 ...
2. 비디오텍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학년별 과목별로 제공된다. 이와 함께 대학입시생을 위한 진로정보가 제공되는데
전
국의 대학 학과에 대한 소개와 개인의 적성 성격 진로 성숙도를 스스로 체크 해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비디오텍스를 이용한 교육지원시스템은 학생들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일반 회사에서 사원들의 연수 및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화살표를 움직여 원하는 그림을 지적해주면 그 명령이 수행되는 방식이다. 여기서
전
자를 메뉴방식(menu driven)이라고 하고 후자를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라고 한다. 매킨토시 컴퓨터의 경우 컴퓨터를 켜자마자 바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나타나는데 이는 공룡이 또박또박 걸어갔음을 말해준다. 즉 이들은 네 발에 체중을 완
전
히 싣고 한 발 한 발 떼어놓으며 걸었으며 꼬리마저도 땅에 끌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현생 파충류들이 거의 대부분 다리가 옆으로 뻗쳐 있고 복부를 땅에 대고 기어다니는 모습과 매우 대조적이다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른바 천마(天馬)로 유명한 군마(軍馬)목장이 있다. 왕소군(旺昭君)의 슬픈 사연이
전
해 내려오는 오랑캐의 땅이 바로 이곳 산단의 연지산이고, 여자들의 얼굴에 바르는 연지는 곧 연지산에서 나는 '연지 꽃'에서 온 말이다. 핵실험하는 초생달 모양의 사구들하서회랑에서 서북쪽으로 가면 ... ...
등검은 메뚜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등검은메뚜기는 메뚜기목 메뚜기과 등검은메뚜기(Eyperpocnemidini)에 속하는 곤충이다. 복안(複眼)에 가느다란 세로줄이 비슷한 종류와 구분하는 키포인트다. 앞가슴 ... 알. 약간 습기가 있는 잡초의 초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먹이식물은 벼과식물이며 한반도
전
지역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강한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오존층이 점점 엷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남극 상공 등 도처에서 불길한 ... 현실이다. 지구환경 문제를 바라볼 때 자기 나름대로의 시각을 갖고 그에 따른 대응
전
략과 대국민 홍보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
전
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최근 염색체21Q와 Y염색체의 유
전
지도가 잇따라 작성됐다. 세계의 매스컴은 이 소식을 보도하면서 인간의 달 착륙과 비견하고 있는데 과연 얼마나 대단한 업적이길래…최근 세계적인 과 ...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것이고, 이로 인해 모든 과학분야의 연구방향을 선도할 것으로
전
망된다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올해도 우리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수상자들의 연구업적을 잘 살펴 다음을 기약하자. 올해의 노벨의학·생리학상은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학 생화학 ... 현재 실험보다 훨씬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검출기 기술에 또 한번의 획기적인 발
전
이 요구된다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진화돼 몸체의 밑보다는 옆으로 나와있는 까닭이었다.어떤 양서류는 5천만년
전
시신세 때 살았던 메세로바트라쿠스 개구리처럼 결국은 튼튼하고 효율적인 다리를 발달시켰다. 화석모양으로 남아있는 경우 이 개구리는 마크 트웨인의 소설에서 나오는 놀라운 현대의 높이뛰기 개구리와 너무도 닮은 ... ...
이전
1370
1371
1372
1373
1374
1375
1376
1377
1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