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
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1차원 세포자동자의 일종인 인공생명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지. 앞에서 소개한 ‘롤 30 세포자동자’를 함께 만들어 보자구 ... ...
[
수
학실험실]
수
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우와~, 엄청 크다. 엄마, 이것 좀 보세요. 엄마 반지보다 100배는 큰 다이아몬드예요. 반짝반짝 무지개 빛으로 빛나는 모습이 정말 아름다워요.”“진짜네~. 여보, 그 ... 브릴리언트 커트 다이아몬드를 직접 만들어 보고, 톨코프스키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수
학적 원리는 없는지 찾아보자 ... ...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
학을 사랑하는 N.O.M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무더운 여름, 책상을 정리하던 최 기자는 특별한 브로셔를 발견했다. 바로
수
학 교구를 직접 제작하는 인천 송도고
수
학 동아리 N.O.M을 소개하는 브로셔다.
수
학 교구를 만드는 ... 우정을 쌓을
수
있다는 거예요. 학교에
수
학 동아리가 있다면 꼭 참여해 보세요! _인천 송도고
수
...
[W5 코드 브레이커] 인터넷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암호체계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이용해도 130자리
수
를 소인
수
분해해서 비밀키를 알아내는 데 약 한 달이 걸리고, 400자리
수
는 약 10억 년이 걸린다. 이 때문에 RSA 암호체계는 가장 안전한 암호체계로 불리고 있다 ... ...
하늘을 나는 사이언스 토이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더 나아가 대회에도 참가해 보세요. 항공 조종사나 이공학도로서 꿈도 한 뼘 더 성장시킬
수
있을 거예요.사이언스 토이를 잡아라!어과동TV가 이번에는 독자 선물을 잔뜩 싣고 나왔어요.RC 장난감을 비롯한 다양한 선물을 받고 싶은 친구들은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블로그(ksdsuper.blog.me)로 놀러 오세요. ... ...
다이얼 '333'을 돌리고 "백투더퓨처!"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1986년 핼리혜성이 찾아왔다. 그리고 같은 해 1월 과학동아는 핼리혜성을 표지 주인공으로 내세우며 혜성같이 등장했다. 과학동아는 333호를 발행하기까지 27년 9개월째 ... 보여드릴
수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더욱 큰 이미지 파일은 "과학동아 인포그래픽"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대한 개념이 들어있다.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의 원궤도 반지름이 특정한 값을 가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바로 보어 모형의 핵심이다.아인슈타인이 극찬하기도 했던 이 3부작 논문은 향후 양자역학이 발달하는 데 커다란 반석이 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양자역학의 성장과 함께 보어 모형은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따라 변하지 않는 소위 정상상태뿐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 변하는 복사 현상까지 설명할
수
있는 포괄적 이론이란 점에서 보어의 이론은 더 우월하다.보어의 ‘위대한 3부작’을 꼼꼼하게 읽어보면 이후 50여 년 동안 진행된 양자역학의 물리학 및 철학 문제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보어는 몇몇 물리 ... ...
열대야가 72일이나…2100년 서울의 밤은 ‘더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올해 여름 폭염으로 밤잠을 설치지 않은 사람들이 있을까. 그런데 앞으로 이런 열대야가 점점 길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서 충격을 주고 있다.기상청이 발표한 ... “2100년의 서울은 1년 중 반은 여름이고, 제주도를 비롯한 남쪽 지방은 아예 겨울이 없어질
수
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죽었다가 부활한 ‘나사로 혜성’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밝은 꼬리를 만든다. 대부분의 혜성은 궤도가 아주 길쭉한 타원을 그리기 때문에 길게는
수
천 년에 한 번씩 태양에 접근한다.하지만 연구팀은 전통적인 이론과 달리 소행성대에 주목했다. 과거 소행성대에 있던 천체의 일부가 동면 중인 혜성이었다는 것.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가 늘어나면 ... ...
이전
1375
1376
1377
1378
1379
1380
1381
1382
1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