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과거
태고
예전
옛적
d라이브러리
"
지난날
"(으)로 총 1,878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11
지구는 커다란 무대와 같다. 무대의 주인공은 물방울. 물방울은 어느날 UFO 구름의 모습을 띠고, 어느날은 태풍을 만들다가 토네이도로 돌변하고 번개를 만들기도 한다. 그러다 어느 순간 미소를 띠며 무지개를 만들어 보인다.만일 대기중에 수분이 없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여러 가지 상상이 가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11
지난 8월 터키의 강진을 시작으로 아시아의 대만, 아메리카의 멕시코에서 엄청난 진도 7.0이상의 강진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세계가 숨돌릴 틈도 없이 이곳 저곳에서 터지는 지진 소식은 우리에게 닥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변한다. 몇 년 전 일본의 고베 지진의 아비규환과 미국의 로스앤젤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11
7월에서 9월까지 약 1백일 동안이나 붉은 꽃을 피워 나무백일홍으로도 불리는 배롱나무. 한자로는 파양수( 痒樹), 즉 ‘간질임을 두려워하는 나무’인데, 전라 충청도 지역에서는 실제로 이 나무를 간지럼나무로 부른다. 원숭이도 떨어질 듯한 반질반질한 줄기에는 흰빛이 얼룩얼룩한 무늬가 있는데 ... ...
2000년은 21세기
과학동아
l
199911
2001년부터 시작된다던 21세기가 사람들의 정서에 밀려 2000년으로 앞당겨졌다. 사람들이 바라는 21세기와 세기와 천년을 정하는 규칙 사이에 차이가 생기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이제 2000년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세기와 천년을 마감하고 새로운 세기와 새로운 천년의 출발을 축하하는 행사가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11
작년의 실망은 뒤로하고 올해도 사자자리 유성우를 맞으러 나서자. 비처럼 쏟아지는 유성우가 아니면 어떤가. 밤하늘을 가르며 불꽃으로 타올랐다 사라져 가는 유성에게서 우주의 소식을 들어보자.작년(1998년)의 ‘사자자리 유성우’는 몇 개월 전부터 매스컴의 보도로 기대를 한컷 부풀렸다. 하지 ... ...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11
작은 것이 강하다.10억분의 1이라는 극미의 세계를 탐구하는 나노기술(nano technology) 분야에서 통용되는 말이다. 나노(n)는 고대 그리스에서 난쟁이를 뜻하는 '나노스'(nanos)에서 유래한 말이다. 1nm는 10억분의 1m에 해당하는데, 원자 3-4개를 이어놓은 정도의 크기다. 이 엄청나게 작은 세계에 대한 연구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11
일기예보는 내일의 의상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우주선 발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기예보의 소비자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일기예보가 공급되는지 살펴보자.내일 저녁부터는 쌀쌀해져서 주말엔 예년 기온보다 떨어지겠습니다. 내일 중부 지방은 비올 확률이 20%로 비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11
어느날 자신의 유전자가 외국에서 특허를 받았다는 소식을 듣는다면 어떨까. 공상소설에서나 등장하는 얘기가 아니다. 현재 미국을 위시한 선진국들은 인간의 유전자와 세포에 대해 '소유권'을 먼저 얻으려는 노력이 한창이다.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채 무단으로 세포를 떼내 특허를 얻는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10
청명한 밤하늘이 많은 10월 밤 은하수는 북쪽 하늘에서 카시오페이아와 페르세우스를 지나며 큰 원호를 그린다. 깊은 밤 머리 위에는 가을의 상징인 페가수스 대사각형이 자리잡고 동쪽에는 황도 별자리인 물고기자리와 양자리가 밝게 빛나는 목성과 토성을 안고 있다.1. 물고기자리 Pisces대략위치: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10
시민들이 국내 복제기술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복제기술을 통해 한 인간을 탄생시키는 일은 물론 초기 배아 단계까지 기르는 일도 금지하도록 요구했다. 하지만 복제기술은 인간의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과학계의 반발이 예상된다. 복제기술은 과연 어디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