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량
개조
향상
개혁
쇄신
진보
옴
d라이브러리
"
개선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검토된 후 설계 제작됐다. 어떤 장비들이 실려 있나우리별 1호의 촬영장치를 좀더
개선
해 우리별 2호용 지구표면 촬영장치를 개발하였다. 우리별 1호에서와 같이 두대의 카메라 가 장착됐는데 그 중 한대는 컬러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구조상에서도 좀더 신뢰성을 높여 한곳에서 ... ...
3. 차세대 네트워크의 주역 윈도우 NT와 펜티엄 칩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엔지니어, 고성능 DTP 프로그램 사용자들 이 펜티엄 시스템을 사용해 눈에 띄는 업무처리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그러나 펜티엄은 무엇보다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파일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서버로서 그 지위를 확고히 할 것이다.원도우NT, 친숙함이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뿐만 아니라 물리이론들이 여러 분야에서 정련되어감에 따라 우주를 보는 방법들이
개선
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우주론들이 멋들어지게 고안되었던 것이다. 물론 이렇게 우주론을 성립하고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관측 데이터와 여러 물리학적인 이론은 우주를 해석하는 뼈대가 되어 왔다. ... ...
'꿈의 열차' T테 G제 V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절약하도록 했다. 또 한 터널 통과시의 압력과 소음방지 시설, 제동장치 등도 대폭
개선
됐다. 한 편성의 열차는 10량의 객차와 앞 뒤 두대의 전기 기관차로 이루어졌으며 대차부분은 동남선과 같은 관절형이다. 열차에는 최첨단 정보시스템이 부착돼 핵심장치가 모두 자동으로 제어된다. 최대 수송 ... ...
군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높일 것이다.예를 들면 소나는 배열기법 신호처리기법의 다양화로 탐지능력을
개선
해 나가는 반면 방해기만장비는 탐지·추적을 적극적으로 회피하거나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다.동서냉전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세계는 바야흐로 평화공존의 시대로 접어들었으나 국가간의 관계는 나날이 ... ...
'컴퓨터 식탁'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윈도우용 응용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새로이 선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스프레드시트의 셀단위 처리가 갖는 불편함을
개선
한 획기적인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쿼트로의 성능도 로터스사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제품에 못지않으며 통계처리 등의 기능에 있어서는 오히려 앞서 있다는 평가도 있다. 스프레드시트 분야만큼 한글 ... ...
1. 한글·영문 글자꼴 어떤 종류가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한메한글 포 윈도우2.0'은 1.0버전이 갖는 윤곽선 폰트의 전형적인 문제점을
개선
하기 위해 바로 이 폰트 캐싱기법과 폰트 힌팅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다 준 예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폰트가 인쇄되기 위해서는 프린터에 폰트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어야 한다. 프린터가 폰트에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전기는 음일 때도, 양일 때도 있다는 것을 밝혔다. 지붕 위에 달아 놓은 철 막대는 그 후
개선
돼 프랭클린 막대, 즉 피뢰침이 됐다.낙뢰를 피하려면 그러면 낙뢰의 위험이 있을 때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미국의 골프협회가 제안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벼락은 높은 곳에 떨어지기 ... ...
2. 윈도우 시대의 글꼴 윤곽선 폰트 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도 남아 있다. 더구나 한글이나 한자의 경우에는 아직도 품질
개선
의 여지가 남아 있다. 영문권에서 윤곽선 글꼴이 성공한 이유는 품질이 비트맵 글꼴의 수준에 근접했기 때문으로 보면 된다.한글과 한자는 한 글자의 복잡함이 영어에 비해 수배에 이르기 때문에 한 글자의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물론 일본과 우리의 연구환경이 크게 다른 것은 사실입니다. 이전보다 우리 연구 환경이
개선
되기는 했지만 아직 흡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거든요. 여하간 저를 포함한 연구자들의 더 큰 노력이 가장 중요하겠지요.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처진 부분이 더 많은 상황에서 우리는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