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형
조화
문체의 우아
일치
대칭
병형
균세
d라이브러리
"
균형
"(으)로 총 1,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상공의 제트기류와 한반도 상공의 것이 위도상 다른 곳에 있다해도 전체 제트기류는 준
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어 한 곳의 변화는 다른 제트기류의 재배치를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당장 가시적인 대기오염이나 기상이변이 일어나지 않는다해도 우리 나라에 계절풍이 성해지는 장마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자동차 시장의 점유율은 현대 54%(61만 5천대) 기아 28%(31만 7천대) 대우 14%(16만 2천대)로
균형
을 이루고 있다.특히 최근들어 국내 자동차업계의 새로운 모델개발경쟁이 가속화되고 외제 승용차의 수입 시판이 허용되면서 우리 주변에서 다양한 디자인의 승용차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가고 있다. ... ...
4. 화학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가공할 독성을 지니고 있다. 이 신경제가 인체에 들어오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
이 파괴된다. 결국 몇분이 지나지 않아 발작을 일으키게 되고 곧 죽음을 맞게 된다. 최초의 신경제는 농약성분인 유기불소화합물에서 추출한 타분이라는 물질인데, 1936년 독일의 슈뢰더박사가 개발했다. 그후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없어져 제대로 걷지도 못했던 한 당뇨병환자의 신발 안쪽에 압력변환기를 넣어 주었더니
균형
감각을 회복하기도 했다.정신적으로도 촉감시스템은 의족보행자를 크게 안심시킨다. 예컨대 다리가 절단됐다는 것을 자기 눈으로 보면서 느끼는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통증-흔히 망상적인 통증이라고 ... ...
대입문제, 출제경향과 대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전과정에서 유일한 도형부분(기하)이기 때문에 중학교 과정에서 조금 다룬 논증기하와의
균형
관계상 더 중점적으로 취급되어진 듯하다.그 이외에는 해석학부분의 단원으로 그 단원의 수가 많기 때문인지 각 단원별로 한 문제 정도씩 출제됐다. 그러나 미분 적분 단원은 각각 세문제가 나왔다. 또 요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있어서의 '자유'를 설명한다. 빅뱅(big bang, 대폭발)이후의 우주는 급속한 냉각을 통해 불
균형
상태를 결과했고 이것은 '어떤 자유를 주는 구조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우주의 팽창, 혼돈이론, 컴퓨터 등 세가지요소는 자유의 개념이 더이상 환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리브는 과학이 ... ...
과학기술처 김진현 장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모습은 상상해보지 못했습니다. 이 자리는 전문지식도 중요하지만
균형
있는 판단과 조화도 필요하므로 객관적 입장에서 행정력을 발휘, 국민의식을 과학화하는데 힘쓰겠습니다."'국민의식의 과학화'라는 표현에 방점이 찍혀 있음을 쉽게 느낄 수 있었다. 그의 설명을 들어보자."이제 과학기술정책은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수컷이 태어나게 된다.악어의 세계에서는 수컷이 많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런 식으로
균형
을 맞추는 것이다.2 ① 해삼은 극피동물에 속하는데, 얼굴을 옆으로 누이고 다닌다. 입은 관족으로 둘러싸여 있고 다른 끝에는 항문이라 불리는 구멍이 나 있다. 그들은 이곳을 통해 배설한다. 해삼의 항문은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일본의 도시 이름을 딴 이 질환은 전형적인 공해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영양의
균형
을 유지해야구리(Cu)는 열전도가 잘 되므로 여러가지 조리 가공기구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구리가 부식되면 청록색으로 변하고 이것이 중독의 원인이 된다. 구리중독의 증상은 메스꺼움 구토 복통 어지러움증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또한 '살아있는 시약'이라고 불리는 실험동물에 대한 관리도 낙제수준이다. 이런 불
균형
을 해소하지 못하면 자연 유전공학은 기형적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유전공학의 기초를 확고히 하는데 더없이 좋은 기회가 게놈프로젝트의 참여다.이 세계공동계획은 국내에서 이세영 이대실박사를 중심으로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