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우리 몸의 오른
발
과 왼
발
은 대칭을 이루고 있다. 한
발
한
발
걸음을 뗄 때마다 오른
발
과 왼
발
은 번갈아 움직이며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앞으로 걸을 수 있게 한다.돌리고 돌려도 똑같아횡단보도에서 신호등을 기다리다가 문득 오른쪽 바닥에 그려진 화살표가 눈에 띈다. 길 건너편에서 건너오는 ...
다면체로 즐기는 월드컵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축구공 모양의 다면체가 있는지 찾아보자. 상상도 하지 못한 곳에서 수학적 구조물을
발
견하면 즐거움이 배가 될 것이다.◎미션◎두 가지 실험 중 하나를 골라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예문 : 귀염둥이 막냇동생 슛돌이가 단단한 축구공을 가지고 놀다 그만 온몸이 멍투성이가 됐어요. ... ...
걸어 다니는
발
전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전압을 3V로 전환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전자기기에 공급한다. 이렇게 만든 신
발
형
발
전기는 한 걸음을 내딛을 때마다 평균 2mW(밀리와트, 1mW=10-3W)를 생산한다.카자카리 교수는 “이 기술은 라디오파를 쓰는 센서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센서 같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며 “현재 휴대전화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보일까요?
발
부터 통과한다면 처음에는 두 개의 타원 비슷한 곡선으로 보일 겁니다.
발
목이 통과할 때는 두 곡선이 좀 더 동그래지고 점점 크고 가까워지겠지요. 그리고 허리 부근에서는 하나로 합쳐지면서 양쪽에 팔에 해당하는 원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다시 하나로 합쳐져 머리에서 끝나겠지요.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소요될 전망이다. 6명의 실험참가자들은 격리시설에 머물면서 장기간 우주여행에서
발
생할지 모르는 의사소통 문제와 심혈관계 질환, 스트레스와 면역력의 관계, 수면장애, 소화불량, 미생물의 위협에 관해 연구할 예정이다. 한국도 이번 실험에 볶은김치를 비롯한 10개 메뉴를 우주식품으로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종피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이다. 이 박사는 “산양의 배설물에서 나온 씨앗의
발
아율은 일반 씨앗보다 3~4배 정도 높다”고 말했다. 산양이 숲의 농부 역할을 하는 셈이다.산양은 풀을 뜯어 먹고 살지만 풀을 건강하게도 만든다. 몸집이 큰 초식동물은 그만큼 풀도 많이 뜯어 먹는다. 산양도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들었다.“이왕 튼튼하게 지었으니, 경제를
발
전시키는 역할은 제대로 하면서 환경피해는
발
생하지 않도록 해야죠.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그와 헤어지고 김제역으로 돌아오는 길. 방조제 뒤로 떨어지는 해를 보면서 새만금 방조제는 바닷모래와 돌망태가 아니라 오 소장 같은 사람들의 땀과 국민의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외 22인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72쪽 | 1만 5000원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가
발
행하는 웹진 ‘크로스로드’에 실렸던 에세이를 모아 책을 펴냈다. 저자들은 과학이 기술과 문학, 예술의 만남이며 소통이 가능한 창의성이라고 말한다. 달팽이 연구가로 유명한 권오길 강원대 생물학과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
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찾다가 룸메이트들과 함께 오늘날 페이스북의 초기 버전을 개
발
했다. 페이스북은 2010년 3월 현재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SNS로 자리를 잡았다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어찌된 일일까. 전복을 뒤집으면 넙적한 빨판 모양의
발
이 보인다. 전복은 근육질의
발
을 사용해 사물에 달라붙거나 기어다닌다. 몸 앞쪽에 머리와 더듬이도 보인다. 더듬이를 꿈틀거리며 기는 모습을 보면 역시 조개보다는 고둥을 닮았다.전복 껍데기도 고둥 껍데기와 비슷하다. 보기엔 납작하게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