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신관우 서강대 화학과 교수팀은 성균관대, 미국 하버드대와 공동으로 빛을 사용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사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세포 중 가장 진화한 형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시금치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5월 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논문으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지난 25년간 개구리를 비롯해 전 세계 양서류의 30%를 감염시켜 일부 종(種)은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만든 병균, ‘항아리곰팡이(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의 출처가 밝혀진 것이다. 그런데, 발원지는 바로 한국이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계에서 하얀 플라스틱이 스파게티 면발처럼 뽑혀 나온다. 바닥에 켜켜이 쌓이더니 신발의 형태가 된다. 아디다스가 5월 선보인 운동화 ‘알파엣지4D’다. 이 신발은 무려 ‘4D 프린팅’ 기술로 만들었단다. 액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프린터로 인쇄한 뒤, 여기에 빛과 산소를 더하면 신발은 완벽 ...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안녕~! 어과동의 마스코트,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최근 드디어 타임머신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 이걸 타고 6만 5000년 전으로 돌아가 옛날 사람들의 생활을 살펴볼 거야. 어라? 그런데, 저 사람…, 벽에 그림을 그리고 있어! 저 때에도 화가가 있었다니, 정말 놀라운데! 한번 말을 걸어 볼까? 일리 : ... ...
- [과학뉴스] 소리로 토네이도 발생 예측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토네이도가 형성되기 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예보 정확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인적·경제적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브라이언 엘빙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기계우주공학과 교수팀은 5월 7~11일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열린 ‘제175회 미국음향학회 연례회의’에서 ... ...
- [과학뉴스] 피부에 바로 인쇄하는 3D 프린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마이클 맥알파인 미국 미네소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살아 있는 사람의 손에 인쇄할 수 있는 맞춤형 3D프린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400달러(약 43만 원)가 안 되는 저렴한 3D프린터를 개조했다. 기존 3D프린터는 약 100도에서 잉크를 사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장미는 화려한 겹꽃잎의 아름다운 자태와 다양한 색깔, 그리고 달콤한 향기 때문에 ‘꽃의 여왕’으로 불린다. 그동안 원예산업에서는 큰 꽃잎, 화려한 색깔, 오랜 개화 기간, 그러면서도 짙은 향기까지 갖춘 ‘완벽한 장미’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했다. 최근 과학자들이 장미의 유전자 지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직 새벽바람이 제법 차가운 4월 말. 우리 연구팀은 몇 년전 폐쇄된 강원도 삼척의 한 공장에서 ‘과학기구(Scientific Balloon)’ 발사 실험을 준비하고 있었다. 서늘한 바람이 긴장한 연구원들의 이마를 훑고 지나갔다. 밤새 내린 비로 발사장 바닥이 미끄러웠다. 과학기구는 지름 7.4m의 둥근 풍선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국형 중이온가속기의 이름은 ‘라온(RAON·Rare isotope Accelerator complex for ON-lineexperiment)’이다. 풀이하자면 중이온 빔 가속부터 희귀동위원소 생성, 이를 이용한 실험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가속기 시설이라는 의미다. 동시에 라온은 ‘즐거운’을 뜻하는 순우리말 단어이기도 하다. 라온에는 실험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주 - 이 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방위(Spaceguard) 프로그램’ 20주년을 맞아 최근 과학자들이 논의 중인 소행성 충돌 방어 시나리오를 토대로 집필한 SF 소설임을 알려드립니다. 박사가 근무하고 있는 연구소의 이름은 NEOT였다. 영문 명칭의 알파벳 약자를 땄을 때, 그것을 발음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