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야생에서 살아남는 비결, 코딩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일시중지’ 명령블록을 넣어 1초 동안 명령을 정지하도록 하세요.➐ 코드작성기의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세요.➑ 몬스터를 소환해 메시지가 나오는지 확인하세요. family 속성이 monster인 몹이 나타날 때만 메시지가 나온답니다. ➒ family 값을 mob으로 바꾸고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박쥐의 역할에 대해 발표한 필리핀 연구자에 이어, 지구사랑탐사대의 발표가 시작됐어요. 영상을 본 카리나 마리는 “미래 세대들이 박쥐의 중요성을 배운다니 정말 놀랍다”며, “한국의 미래 세대는 앞으로 더 멋진 일을 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지요. 이날 발표를 마친 류흥진 연구원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우주여행을 떠나는 꿀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도착한 것을 환영합니다’. 고층 전용 엘리베이터의 문이 열리자 우주의 시작을 알리는 안내판이 개코 조수와 꿀록 탐정을 반겼어요. “개코 조수! 저기 봐!”꿀록 탐정이 가리킨 곳엔 푸른 지구가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었지요.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잭이 알려준 명소에서 인생사진을 찍고 ... ...
- [특집] 다녀왔다! 상온얼음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극한측정연구팀의 이근우, 이윤희 책임연구원이 어두침침한 실험실에서 설명을 시작했어요. 두 연구자의 등 뒤로 복잡한 기계 장치가 어렴풋이 보였지요.이근우 연구원은 “상온얼음은 대기압의 1만~100만 배인 고압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극한측정연구팀의 연구 주제 중 하나”라고 알려줬어요. ... ...
- [기획] 우주 승객 ‘블롭’,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황색망사먼지의 우주여권✚이름 블로비 완 케노비 영화 에 등장하는 은하공화국 소속 등장인물 ‘오비완 케노비(사진)’의 이름을 땄다. 이렇게 ... 우주비행사 토마스 페스케는 10월 경 휴면 중인 황색망사먼지에게 물을 뿌려 깨워 실험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 ...
- [특집] 꿀렁꿀렁~, 얼음이 국숫발처럼 구부러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2000V(볼트)의 전기를 흘렸지요. 그러자 수증기가 바늘 끝으로 모여 실 모양으로 얼기 시작했어요. 수증기를 이루는 물 분자는 극성●을 띠고 있어 전기장에 이끌리거든요. 그렇게 만든 가느다란 얼음 실로 탄성을 실험했죠. 구부러지는 얼음의 탄성은 어느 정도인가요?얼음 실은 180° 가까이 ... ...
- [헷갈린 과학] 가격도 달라, 맛도 달라! 청포도VS샤인머스캣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선명하죠. 톰슨 씨들리스는 한국·칠레 FTA가 체결된 2004년부터 우리나라에 수입되기 시작했습니다. 껍질 째로 한입에 먹을 수 있다는 장점 탓에 ‘씨없는 청포도’라는 별칭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지요. 이후 지금까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품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잘 익은 톰슨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그동안 보고 싶었던 영화를 몰아봐야겠다고 선언하더니 직접 영화관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영화관을 어떻게 만드려는 건지 궁금하던 찰나 섭섭박사님은 검정색 종이와 상자, 돋보기를 챙겼어요. 그 이유가 궁금한 친구들은 오른쪽 QR을 찍어 영상으로 확인해 보세요. ●영상 제목나만의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태양계의 행성들을 모두 만날 수 있거든요. 추석 당일인 9월 21일 저녁 해가 지기 시작할 무렵 서쪽 하늘을 관찰해 보세요.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은 금성을 볼 수 있어요. 그리고 그 옆에 지평선과 좀 더 가까운 곳엔 수성이 있지요. 수성은 해가 진 직후에 볼 수 있답니다. 날이 본격적으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이어 붙여요. 연구팀은 야생의 벌들이 어떻게 벌집을 만드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지요. 먼저 연구팀은 12개 집단의 꿀벌들이 벌집을 짓는 과정을 관찰하고, 꿀벌이 만든 벌집 속 1만 2000여 개의 방을 자동 이미지 분석 기술로 하나하나 측정했어요. 이후, 꿀벌이 각기 다른 벌집을 합치기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