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동향
동정
운동
추이
노릇
행동
d라이브러리
"
움직임
"(으)로 총 2,9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열렸다. 이번 총회에서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이어 사람의 모든 단백질을 정리하려는
움직임
이 한창이었다.HUPO 2011 학회장에 모인 인파는 그야말로 출근시간 서울 신도림역을 떠올리게 했다. 양떼가 뛰노는 푸른 초원이 펼쳐진 스위스에서 즐길 ‘유러피언 라이프’를 꿈꿨던 기자는 당황하지 않을 ... ...
귀금속의 고향은 우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대부분은 이 같은 방법으로 생겼다고 추정한다”며 “이 시기 운석이 맨틀 상부의
움직임
을 일으켰다는 연구도 가능하므로 맨틀의 상태를 알아보는 연구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9월 8일자에 실렸다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동작할 여유조차 주지 않았다. 이밖에도 횡단표적, 기동표적, 퇴각표적 등 적기의
움직임
을 가정한 모든 시험에서 마시일이 적기를 직격했다. 동시에 2발을 발사해 2개의 표적을 직격하기도 했다.천궁은 이제 실전 배치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금 공군이 운용하고 있는 호크를 천궁이 대체하면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효과를 주면, 주변의 털이 가이드 헤어와 완전히 똑같이 움직이는 않으면서도 전체 털의
움직임
을 매우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다. 오감을 자극하는 미래의 애니메이션정말 고마워. 너희들 덕분에 원래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었어! 이 정도면 인기를 끌 만하지?설마 옛날처럼 쿵푸만 보여 줄 건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군산대 교수들의 강의와 실험이 동시에 이뤄진다. 파도가 생기는 원리와 파도의
움직임
을 배운 뒤에는 직접 측정 기구를 가지고 바다로 가서 파도의 높이와 속도를 측정한다.바닷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플랑크톤과 같은 해양생물을 공부할 수 있다. 바닷물의 풍화와 침식현상에 대한 강의는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하의 저주파수 진동에 일정 시간 노출되면 멀미를 느낀다. 파도 위에서 출렁이는 배의
움직임
은 대표적인 저주파수 진동이다.]비밀은 진동에 있다. 파도 위에서 출렁거리는 배를 보자. 2~3초마다 한 번씩 위아래로 출렁거린다. 주파수는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말하므로 수직으로 진동하는 배의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배경이 서로 부딪히고 밀어내는
움직임
이 부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다. 이때는 각 물체의
움직임
을 제어하는 ‘물리엔진’의 알고리즘을 수정하면 된다. 물리엔진은 게임이나 CG에서 물체가 자연 현상과 비슷하게 움직이도록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여러 개의 알고리즘으로 이뤄져있다. 일부 할리우드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말했다.윤 박사는 같은 과 이창우 연구사와 함께 산지의 고도 차이에 따라 토석류의
움직임
을 예측하는 새로운 모형을 개발했다. ‘랜덤워크(Random Walk)모형’이라는 이름의 이 모형은 산지를 위에서 보고 바둑판 모양의 격자를 그린 뒤 각각의 격자에서 다음 격자로 이동할 때 높이 차이가 가장 큰 ... ...
물리 - 유체
움직임
의 다양한 활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997년 대 프랑스전에서 브라질 축구선수 로베르토 카를로스는 환상적인 슛을 성공시킨다. 그의 왼발 프리킥은 수비벽 오른쪽을 지나 골대를 벗어나는 듯하더니, 마치 곡예하듯 왼쪽으로 휘어지며 오른쪽 골네트를 흔들었다. 베르누이 효과가 만들어낸 예술이었다. ...
생체신호 감지 인공피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팔에 붙이면 마치 문신처럼 떨어지지 않으면서 심장박동과 체온, 근육의
움직임
,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됐다. 김대형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이 피부는 앞으로 생체 데이터 측정기술과 원거리 전송기술을 더해 원격측정 의료기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