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용 닮은 탈라루루스 공룡의 머리, 완벽 복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역에 살던 탈라루루스(Talarurus) 공룡에 대해 들어봤나요?탈라루루스는 머리, 등, 꼬리가 작은 뼛조각으로 싸여있어 갑옷을 입은 듯 보이는 ‘갑옷공룡’ 중 하나예요. 1952년, 몽골 바얀시레층*에서 처음 발견된 초식공룡이지요. 처음 발굴한 탈라루루스 머리뼈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그동안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있어 지반이 약한 탓에 온돌을 전체적으로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작은 공간이기 때문에 가장자리만 따뜻해도 충분하다고 여겼을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또 다른 재밌는 추측도 있어요.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김태영 사무관은 “향원정 안에서 창문만 연 채로 주변 경관을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파전이 예상됩니다. 1. 진짜 고기와 맛이 비슷한가?일단 대체육류의 맛이 궁금해서 작은 시식회를 열었습니다. 과학동아 기자와 디자이너 등 동아사이언스 직원 21명을 대상으로 12월 6일 콩고기 1종(러빙헛코리아의 ‘비건 콩불구이’)과 곡물고기 1종(지구인컴퍼니의 ‘언리미트’)을 구워서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허명회 교수가 계산한 결과, 반원 윷의 경우 엎어질 확률이 37%인 반면, 회전각이 더 작은 실제 윷은 33%, 이상적인 윷은 29%였어.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윷을 굴릴 때와 던질 때 상황이 정반대가 된다는 거야. 윷을 굴릴 때는 엎어진 윷이 잘 나오지만, 던질 때는 반대로 뒤집어진 윷이 많이 나와.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00년 일본의 자동차 회사 혼다가 공개한 아시모는 인간처럼 두 다리로 걸을 수 있고, 작은 물체를 집어 올리고, 계단도 오를 수 있었다. 20년 간 비밀리에 진행된 프로젝트 결과가 공개되자 전 세계 로봇 공학자들은 ‘멘붕’에 빠졌다. 선진국들은 앞다퉈 휴머노이드 연구에 착수했다. 국내에도 오 ... ...
- 변화하는 환경엔 말랑말랑한 내가 최고! 소프트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어울리지 않아요. 로봇학자들은 부피가 작은 액체를 섞어 공기를 발생시키거나, 작은 전극을 이용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내고 있답니다. INTERVIEW 조규진(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이것도 로봇이냐고요?”소프트로봇은 워낙 다양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서 정의를 단정짓기 어려워요. 저는 ...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독자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나요?모든 생명에게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작은 관심이라도 좋으니 귀엽고 익숙한 동물뿐만 아니라, 독수리처럼 익숙하지 않은 동물까지요. 전 매년 여기서 힘찬 날갯짓으로 돌아올 독수리들에게 식당을 열 테니, 어린이들도 관심 부탁해요.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 결과 고래의 몸집은 먹이 섭취 방식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크릴새우처럼 작은 먹이를 흡수하듯이 섭취하는 대왕고래는 몸집이 크지만, 해저에서 어류를 사냥하는 이빨고래는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았다. 일반적으로 육상동물은 몸집이 클수록 큰 먹이를 섭취한다고 알려졌는데,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순간에 그를 숨겨주며 더욱 큰 쾌감을 주는 마법 물품이다. 특히 1학년인 해리가 작은 오두막에서 친구인 론, 헤르미온느와 오밀조밀 모여 투명망토 속에 숨는 장면은 주인공들의 앙증맞음을 배가시켰다. 투명망토는 해리 포터 시리즈 외에도 다수의 동화와 SF소설에서 언급됐는데, 웨일스의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뤄졌다. 원통 항아리에 물이 채워지면서 잣대가 떠오르면 시보 장치와 연결된 선반에 작은 구슬이 떨어져 큰 구슬을 건드린다. 큰 구슬이 떨어지면서 지렛대를 건드리면 인형이 종과 북, 징을 치는 방식이다. 15세기 조선에서 이토록 첨단 과학기구가 개발됐다니. 이 공로로 장영실은 종4품 호군이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