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경
경관
풍경
경치
무대
배경
사태
d라이브러리
"
장면
"(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과학자가 청소년을 앞에 두고 모든 정성을 다해 2주에 걸쳐 양초에 대해 열강하고 있는
장면
을 상상해보라.왕립연구소는 당시 가장 중심적인 과학연구 기관이었으면서 동시에 가장 뛰어난 과학강연자들이 일하던 곳이었다. 패러데이의 전임자 데이비(Humphry Davy), 패러데이, 그리고 그의 후계자 틴달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보다 더 멋있을 수 없다’. 오늘은 뭘할까 고민하며 뒹굴거리던 과동이는 TV 속의 이
장면
을 보는 것만으로 벌써 온몸의 스트레스가 풀리는 것 같다. 올해는 꼭 스노보드를 배워보리라 결심한 과동이는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다. 우선 스노보드 장비를 알아보기로 하고 집을 나선 과동이는 근처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잃어버린다. 그래서 로빈슨 역시 문명으로 되돌아왔던 것이다.그러나 두 영화는 마지막
장면
에서 또다른 분기점을 갖는다. 로빈슨 크루소는 사랑을 찾았지만 척 놀랜드는 사랑을 잃어버렸다. 척 놀랜드는 잃어버린 자신을 찾아 문명으로 돌아왔지만 단절된 관계와 과거를 복구할 수 없었다.로빈슨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하지만 물이 흐르면 공도 구른다. 불편할 뿐더러 가끔 공이 저절로 굴러가는 우스꽝스런
장면
이 연출되기도 했다.상암구장을 보자. 윤기가 흐르는 잔디 밑을 파보면 물이 고이지 않는 이유를 한눈에 알 수 있다. 평범해 보이는 그라운드 밑은 단순한 땅이 아니다. 우선 맨위는 잔디가 뿌리를 내릴 수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입에 간호사들은 하얀 알약을 넣어주고 환자는 작은 컵에 담긴 물로 알약을 삼킨다. 이
장면
은 마치 한조각의 밀떡과 한모금의 포도주를 받아마시는 성당의 미사를 연상시킨다. 이 순간 환자들은 현대 정신의학이라는 신에 복종해야 하는 운명을 타고난 신자들이 된 것이다.교도소에 수감중인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화면에 사용자의 얼굴이 반사되는 전형적인 풍경은 바로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빚어낸
장면
인 것이다.애플 2와 IBM PC와 같은 초창기 PC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답습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인터페이스가 지닌 관성은 실로 지대하기에 여전히 우리는 쿼티 키보드를 버리지 못하고 있지 않은가.애플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하에 만들어졌다. 도입부에 인형 안에 든 폭발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독가스가 터지는
장면
이 있다. 우주복을 방불케 하는 특수 복장의 전문가들이 등장한다. 굿스피드는 그 가스를 보고 알았다는 듯이 ‘사린가스’라고 말한다. 동경에서 옴 진리교에 의해 자행된 독가스 공격 때 사용된 것이 바로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찍는 것이 목적이다.2004년 1월 발사될 NASA의 탐사선 딥임펙트(Deep Impact)는 마치 영화
장면
처럼 템플혜성(9P/Tempel 1)에 탄환을 발사해 혜성과 충돌할 때 날아오르는 파편을 관측할 예정이다. 또 유럽우주기구(ESA)에서는 2003년 1월 탐사선 로제타(Rosetta)를 발사해 워타넨혜성(46P/Wirtanen)과 여러 소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결말이며 마지막
장면
이 바로 이야기의 시작이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시퀀스의 첫
장면
을 다음 시퀀스의 마지막 대목과 반복적으로 맞물려 놓아 1백14분의 러닝타임이 10여개의 뫼비우스 띠로 연결된 사슬을 이룬다. 로스엔젤레스 타임즈 영화평에 따르면, 비범한 연출 아래 스크린에서 할 수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문자인 한자를 처리하는 뇌 영역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전통적으로 임상
장면
에서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뇌기능을 연구해온 신경심리학은 환자들의 진단과 평가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신경심리 검사도구의 개발에도 한몫을 담당해 왔다.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한 신경심리학이나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