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준
척도
규격
규범
본보기
견본
준거
d라이브러리
"
표준
"(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STM의 개발을 거의 끝낸 상태다.국내에는 10여곳에 STM이 설치돼 있다. 그중 한국
표준
연구소와 선경연구소에서는 STM을 수입해 왔다(수입가 10만달러 정도). 또 서울대에는 국명교수가 직접 제작한 STM 3대가 있고, 전북대에도 박찬교수가 만든 STM 1대가 설치돼 있다.STM연구자들의 모임인 STM국제회의는 198 ... ...
신혜성 「슈메이커─레비」 곧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신혜성임이 밝혀졌고
표준
등급이 7.5 등급으로 계산됐다(발견 당시의 등급은 약 16등급).
표준
등급이란 혜성이 지구에서 1AU(태양과 지구사이의 거리, 약 1억5천만km)떨어져 있고 태양으로부터도 1AU 떨어졌을 때의 밝기.이 혜성이 비교적 작으면서도 아마추어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궤도가 황도면을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과학자들이 수많은 실험과 관측자료를 집대성해 만든 우주의 생성과 진화에 관한 이
표준
이론이 20세기말에 극적으로 입증된 것이다.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문제는 아직도 산적해 있다. 우선 ${10}^{-43}$초 이전의 우주의 상태를 기술할 수 있는 이론을 만들고 검증해야 한다. 그리하여 우주의 나이가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있다는 것이다.먼저 반도체제품 자체만을 보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대부분 D램 등
표준
제품이라 할 수 있는 메모리류에 편중돼 있고 나머지의 경우는 그야말로 불모지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생산구조면에서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이같은 제품구조상의 불균형은 수출입자료에서 극명하게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4~8배 생산량 늘어'꿈의 신소재'라고 일컬어지는 훌러렌(${C}_{60}$)의 대량생산법이 한국
표준
과학연구원 소헌영 조양구박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탄소원자 60개가 축구공처럼 배열된 완전구형화합물인 훌러렌은 속이 빈 분자. 85년부터 이 물질의 존재가 예상돼 왔는데 실제로 제조된 것은 9 ... ...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있었다. 이 선수의 도마경기 장면을 수치화해 역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도움닫기
표준
모델을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성낙준 운동역학실장은 말했다. 즉 우수한 선수의 경기장면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다른 선수를 지도할 때 참고로 한다는 것이다.이 장비는 다이빙 체조 등 위험한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전에는 값비쌌던 윈도우 제어용 그래픽 프로그램들이 이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표준
으로 장착되어 나온다.예를 들어 중형 이상의 시스템을 구입할 때 X윈도우 시스템이 쓸만한 속도로 동작되는지는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컴퓨터 개발의 목표는 사용자와 보다 친밀한 ... ...
(3) 정박아 기형아 낳을 위험성 높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轉座型)이라 하는데 다운증 환자1백명중 네사람이 이 타입에 속한다. 전좌형의 다운증은
표준
형의 다운증과는 달리 어머니의 나이에는 관계없이 발생한다. 전좌형 아기를 낳은 부모는 염색체검사를 꼭 받아야 하는데 보통 양친중 어느 한쪽에서 이상이 나타난다. 검사해 보면 반드시 전좌형 아기와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서정돈교수는 주의를 환기시킨다.1백57㎝에 20㎏이번에는 마른 사람들의 얘기를 해보자.
표준
체중보다 10% 밑도는 체중을 가진 사람을 홀쭉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뚱보들보다는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감기 ... ...
태양전지 거북선·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무게가 덜 중요한 거북선은 배터리 선택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표준
연구원 전기화학실과 전기연구소 윤문수 박사팀이 납 배터리의 성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니켈아연 배터리나 산화은 배터리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런 팀들과 협의하여 EXPO가 열리기 전까지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