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것이 초기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탄생한지 수억년밖에 안된 시기의 모습이 처음 관측됐다.미항공우주국(
NASA
)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I)는 허블우주망원경이 하늘의 일부 지점을 4개월 동안 1백만초 이상 촬영해 1만개의 은하들을 발견했다고 3월 9일 밝혔다. 스티븐 베크위드 STSI 소장은 “우리는 과거의 어느 누구보다 더 어둡고 먼 ... ...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고흐의 이 명작을 닮은 현상이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지난 3월 4일 미항공우주국(
NASA
)은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과 놀랄 만큼 비슷하다며 천체사진 한장을 공개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의 고성능카메라(ACS)가 지난 2월 8일에 찍은 이 사진에는 수조km의 우주공간에 걸쳐 점점이 빛나는 별들 사이에서 ... ...
독심술 기계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행렬에 입력된 숫자를 일대일대응시킨 것이다. 이 방법을 적용한 실험에서 연구팀은 ‘
NASA
’를 웹 검색엔진에 넣어 관련 정보를 찾는데 성공했다.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척 조젠슨 박사는 “실제 말하지 않고 혼잣말이나 상상만 해도 생체신호가 발생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말을 하기 어려운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설정한 영화 딥 임팩트를 자문한 것이 결코 우연은 아니었던 셈이다.아마겟돈 역시
NASA
출신 연구원들이 자문했다. 하지만 아마겟돈의 소행성 묘사는 딥 임팩트의 혜성 묘사보다 엉성한 점들이 많다. 지름이 9백km나 되는 엄청난 크기의 소행성이 불과 18일 전에야 발견된다는 점이 대표적인 예다. ... ...
세드나, 행성여부 뜨거운 논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애꿎게 행성자격을 박탈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이번 발견을 주도한 미항공우주국(
NASA
)과 캘리포니아공대 천문학자들은 지난 16일 기자회견에서 “이 천체는 1930년 명왕성이 발견된 이래 가장 큰 것이지만 지름 2천3백60km인 명왕성의 4분의 3 크기”라며 “진짜 행성은 아니고 행성과 소행성 사이인 ... ...
별을 뜯어먹는 블랙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무거운 블랙홀이 부근을 지나가던 별의 일부분을 포획하는 모습을 그린 상상도. 미항공우주국(
NASA
)의 찬드라 X선 망원경은 이때 발생하는 강력한 X선을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이 발견은 블랙홀의 성장과 주위 별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정보다. 이 블랙홀은 지구에서 7억광년 ... ...
화성사진 색깔 실제와 달라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심지어 생명체의 존재를 감추려고 초록색으로 된 표면 일부를 없앴다고 주장했다.물론
NASA
의 컬러 보정과정을 조작이라고 말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이 많다 ... ...
아름다운 머리카락 속의 검은 눈 'M64'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하늘에서 쳐다보는 것은 아닌지 하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 지난 2월 5일 미항공우주국(
NASA
)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이런 느낌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닌 듯 싶다. 사진의 주인공은 누군가를 응시하는 거대한 눈처럼 보인다. 별명도 ‘검은 눈’ 또는 ‘악마의 눈’ 이다. 섬뜩함이 느껴진다 ... ...
각국의 최초 우주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가가린은 1968년 소련의 최신 제트 전투기 시험비행 도중 추락, 사망했다.미항공우주국(
NASA
)은 1959년 7인의 우주인 후보를 선정했다. 이들 중 미국 최초의 우주인은 알란 쉐퍼드 해군 소령. 그는 1961년 5월 지구를 반바퀴쯤 도는 15분 간의 탄도비행에 성공했다. 이어 1962년 2월 존 글렌 해병대 중위가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증명될 때까지 나노기술의 연구를 중단해야 한다는 모라토리엄을 요구하고 있다.한편
NASA
와 동일한 실험을 한 다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가 폐에 그렇게 위험한 것은 아니라는 결과가 나왔다.지난해 9월 미 듀폰의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가 기도에서 뭉치기 때문에 폐에 잘 들어가지 않는다고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