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뉴스
"
유지
"(으)로 총 8,16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찰나의 즐거움을 위한 학문?"…수학의 본질이란
수학동아
l
2024.02.03
갖춰야 할 특성은 굉장히 고차원적이고 다양하며 이런 다양성이야말로 수학을 건강하게
유지
해주는 힘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실제로 우리가 수학을 바라보는 관점과 비슷해요. 수학은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언어,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발견하는 경이로움이기도 해요. ... ...
'니모를 찾아서' 흰동가리, 줄무늬 몇개인지 셀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지능이 낮은 동물이라는 편견이 있지만 숫자를 인지하고 엄격한 사회적 위계질서를
유지
하는 능력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는 아직도 해양 생태계와 생명체에 대해 잘 모른다”고 말했다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감소시켜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1000회의 충·방전 실험에서 80% 이상의 용량이
유지
되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전해질은 20회 충·방전 만에 50%도 안 되는 용량을 보인 바 있다. 유기 전극 기반 이차전지 실용화와 관련해 출력이나 용량 손실 없이 가역성 향상을 이뤄냈다는 평가다. 연구 결과는 ... ...
신호등 색 감지하는 모자...일상복이 컴퓨터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얇은 고분자 필름인 ‘파릴렌-C’를 코팅해 발전 성능을 향상하고 비대칭 습윤성을
유지
하도록 했다. 두 섬유를 직조방식으로 결합해 스마트 섬유를 완성했다. 이 섬유로 만든 의복은 인체의 움직임과 땀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위치 추적 센서를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송현철 KIST ... ...
조교수 연봉 2억·교원 정년 70세…포스텍, 교수 처우 파격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받은 교원들에겐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을 방침이다. 차등적 제도로 교수들의 경쟁체제를
유지
하겠다는 이야기다. 성과급 책정은 1년 동안의 단기 성과를 평가한다. 기존에는 과거 3~5년 동안의 성과를 살폈다. 평가 간격을 단축해 연구 성과에 대해 즉각적인 보상이 이뤄질 수 있게 한다는 ... ...
두개골 안 뚫고 파킨슨병 완화…자기장 치료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자극을 받은 파킨슨 쥐는 자극을 중단한 24시간 후에도 회복된 운동 능력의 35%가
유지
됐다. 천 단장은 “나노-자기유전학을 활용하면 기존 DBS 방식보다 비침습적이고 정밀하게 신경세포를 자극해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가 가능하다”며 “파킨슨병뿐 아니라 뇌전증, 알츠하이머병 등 ... ...
[과기원NOW] 인력 투입 없이 태양전지 먼지 제거 기술 나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 간 다중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입자들은 빠르게 고형화돼 구조를
유지
했다. 연구팀은 입자 간 상호작용을 조절해 10μm(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무기 다공성 구조를 제작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 ...
불빛에 곤충이 모이는 이유는…"곤충 감각에 혼란 유발한 탓"
연합뉴스
l
2024.01.31
달빛 같은 자연 광원 아래에서 곤충이 지평선과 정확히 일치하는 비행경로를 안정적으로
유지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am Fabia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그러나 인공조명은 곤충의 비행경로를 불규칙하게 만들고 계속 수정하도록 해 현기증을 유발함으로써 곤충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일이 아니다. 제설차로 밀어낸 눈을 쌓아둘 공간도 없다. 값비싼 제설 장비를 마련해서
유지
·관리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 겨울이 길지 않은 우리에게 제설차는 어울리지 않는 기술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결국 ‘제설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제설 기술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 본격적인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종류를 분류할 수 있고 깊게 찢어지거나 베여도 상처 부위 외 영역에서 촉각 감지 기능이
유지
된다. 상처 부위를 보수하면 기능 회복도 가능하다. 기계적·전기적 물성 조절이 가능해 의수나 의족에 사용하면 실제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외형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김 교수가 개발한 기술은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