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1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역효과가 꽤 있을 텐데 다소 의아한 결과다. 흥미롭게도 커피 한잔에는 칼륨이
100
mg나 들어있다. 하루 서너 잔을 마시면 권장량의 10%를 섭취하는 셈이다. 어쩌면 커피의 건강 효과의 상당 부분은 만성 부족 상태인 칼륨을 꽤 보충해준 덕분 아닐까. 이번 나트륨 칼륨 섭취량과 사망률 관련 ... ...
100
원도 안되는 센서...소변에 빛 쏘아 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현장에서 바로 고감도로 암을 진단할 수 있으며 스트립형 센서의 생산가격이 개당
100
원 이하여서 대량 검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한국과 미국에 특허를 출원하고 전립선암, 췌장암을 시작으로 대장암, 폐암까지 확대해 연구하고 있다. 정호상 선임연구원은 “췌장암처럼 진단 방법이 ... ...
밤하늘에 많던 별은 왜 점점 안 보일까..."빛 공해로 밤하늘 밝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3.01.23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250개의 별이 보이던 지역에서는 18년 후
100
개 미만의 별만 보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연구팀은 “여러 국가들에서 빛 공해를 막기 위해 여러 대책들을 강구하고 있지만 빛공해는 증가하고 있다”며 “과도한 인공 조명도 위험물질이 될 수 있다는 ... ...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01.21
임무 궤도에 진입할 계획이다(기사는 12월 13일 작성). 그리고 2023년 1월부터 1년 동안 상공
100
km의 궤도에서 하루 12회씩 달을 공전하며 과학기술 임무를 수행한다. 항우연을 비롯해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이 개발한 5개의 국내 탑재체로 우리나라 최초의 독자적인 달 지식을 확보하는 ... ...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지구 닮은꼴 행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1m) 수준을 요구한다는 게 NASA 측의 설명이다. 또 HWO의 ‘코로나그래프’는 JWST와 비교해
100
억배 더 밝은 별을 촬영할 수 있어야 한다. 코로나그래프는 천체가 내는 빛을 차단해 희미한 외계 행성이 되도록 만드는 망원경 내부의 광학 장치다. 미세운석으로부터 우주망원경을 방어할 장치도 필요하다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간단히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생체지표 가스인 수소는 매우 미량의 농도인 ppm(
100
만분의 1) 수준으로 사람의 호흡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센서의 민감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 사람의 호흡에는 고농도의 수분이 포함돼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종 이상의 가스들이 ... ...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 이용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방출한다. 나노입자를 코팅한 트랜스페린은 나노물질이 서로 붙지 않게 막아
100
nm 크기를 유지하고 나노물질과 암세포가 잘 부착할 수 있게 해 활성산소를 암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응용재료 및 인터페이스' 1월 18일(현지시간 ... ...
베일벗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사고 가능성
100
만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개최했다. 원안위 제공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의 방사성 물질 대량 누출 가능성은
100
만분의 1로 설계돼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대량 누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17일 서울 중구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개최한 'SMR 안전규제 방향 마련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에서 김한곤 i-SMR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노벨상을 받은 것은 결핵균을 발견하여 190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코흐 이후
100
년만의 일이다. 어떻게 보면 진부하다고 할 수 있는 연구결과에 대해 노벨상이 수여된 것은 유병률이 높으나 해결책이 없던 질병의 해결가능성을 제시했고, 강산성에서 세균이 생존할 수 없을 것이라는 ... ...
DNA ‘미끼’로 한번에 여러 바이러스 검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등 호흡기 바이러스를 탐지한다”며 “
100
%에 가까운 정확도로 바이러스와 변종까지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시간 내 검사 결과 도출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 기술은 특허 등록을 마쳤다. 카이저 교수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캠브리지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