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성과"(으)로 총 1,7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촉진함으로써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조절, 식물의 개화 시기를 조절함이 증명됐다. 연구성과는 에 2016년 12월 게재됐다. 다양한 개화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견은 식물의 개화 시기 조절 메커니즘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PWR 단백질의 작용과 같이, 식물은 후성유전학적으로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게 훨씬 수월하기 때문이다(Tangney et al., 2005). 따라서 실수나 잘못을 해도 이걸 나의 정체성과 자아가 걸린 이슈(self-issue)로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의견이다. 정작 중요한 행동 수정에 집중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때로는 되려 자아를 방어하기 위해 ‘내가 잘못한 게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스반테 페보 박사팀은 뼈를 건네받았고 2010년 추출한 DNA에서 게놈을 해독하는 성과를 올렸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대략 40만 년 쯤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새로운 인류로 밝혀져 ‘데니소바인’으로 불렸다. 그 뒤 동굴에서 어른의 어금니 두 개가 더 나왔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게놈분석결과 역시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동등한 기능을 갖는 생명체를 개발하려 한다. 연구진의 합성법은 자연 효모의 게놈 구성과 완전히 동일하진 않음에 두 효모는 같은 기능을 한다. 학술지 ‘네이처’는 웹사이트 뉴스를 통해 이를 ‘진화의 비밀을 풀어줄 열쇠’라고 표현했다. 인공효모와 자연효모의 게놈 구성 차이가 곧 효모가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미생물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는 연구"라며 "현재 가시적인 성과를 눈앞에 두고 있다"고 자신감을 피력했다. 그는 "앞으로 면역조절 유산균을 찾아서 면역억제 기능뿐 아니라 면역증강 기능도 연구할 계획"이라며 "예를 들어 맞춤형 유산균으로 면역증강 후, 항암제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있는 종이라는 기존 이론이 틀렸음을 보여주는 이 실험의 의미가 ‘2016년 10대 연구성과’로 뽑힐 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요즘 동물들이 생각보다 똑똑하다는 걸 보여주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지명도 높은 학술지에 실리고 대중매체도 즐겨 다루는 것 같다.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은 ...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편집자주 탄핵 절차, 미국 비자 요건과 같은 사회 이슈는 물론. 줄기세포 주사, 조류독감(AI), 구제역과 같은 과학 상식까지. 공부할 게 참으로 많은 세상입니다. 이번 사 ... 대상인 아밀로이드 VS 타우 가설의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이라고 연구성과를 소개했습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2017.02.14
- 그렇다면 왜 합성생물을 만드는 시대에 인공세포를 연구할까. 물론 합성생물의 성과는 대단하지만 그럼에도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하다. 먼저 통째로 합성한 게놈 스스로가 살아갈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즉 게놈을 뺀 박테리아 안에 합성게놈을 넣어줘야 생명으로 바뀐다. 즉 게놈만으로는 주변에 ...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유능한’ 사람들과 함께 일할 상황을 피하는 경향이 있어서 좋은 파트너가 될 가능성과 좋은 파트너를 만날 가능성을 놓치게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리더’가 될 능력이 충분히 있음에도 큰 책임을 지기 싫어하는 경향을 보여 리더가 될 기회를 놓쳐버릴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파트에서 초전도선형가속기(SCL)에 넣어줄 빔을 만들고 있다. 그는 "지난해 RFQ 선형가속기 성과는 초기 빔 실험 단계"라며 "올해는 장치를 안정화하고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다"고 밝혔다. SCL 시험시설에서 초전도 부분의 첫 번째 빔을 보는 것이 목표다. 현재는 KAIST 문지캠퍼스에 마련된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